범대위 "시민의 환경권·평등권 침해" 주장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9/04/AKR20180904055700054_01_i.jpg)
(나주=연합뉴스) 김재선 기자 = 광주·전남공동(빛가림)혁신도시의 최대 현안인 고형폐기물(SRF) 열병합발전소에 대해 '나주열병합발전소 쓰레기연료 사용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가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했다.
범대위는 열병합발전소가 나주시민의 환경권과 평등권을 침해한다며 지난 3일 감사원에 감사청구서를 제출했다고 4일 밝혔다.
나주시민 641명이 감사 청구인으로 참여했다.
감사 대상기관은 한국지역난방공사,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광주광역시, 나주시 등이다.
범대위는 감사청구서에서 "열병합발전소에서 1일 사용 예정인 444t의 SRF 중에서 나주시의 쓰레기로 만들어지는 양은 약 3%에 불과하고 나머지 97%는 모두 타 지역(광주시, 전남 5개 시·군)의 쓰레기"라며 "행정당국이 서울시와 수도권, 광역시 등에서는 쓰레기연료의 사용을 금지하고 중소도시 등에서만 허용하는 등 이중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범대위는 "나주 열병합발전소 이외에도 전국 각지에서 SRF 사업으로 인한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며 "발전소 가동 시 각종 유해화학물질 배출로 인한 환경오염과 지역주민들의 건강이 우려된다"고 감사 청구 이유를 밝혔다.
이어 "쓰레기연료를 재생에너지에 포함한 정부정책의 부당함과 정책 추진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쓰레기연료 사업 자체를 전면 재검토할 것을 주장한다"고 덧붙였다.
나주 SRF열병합발전소는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내 공동주택과 공공기관 등에 집단 열에너지와 전기공급을 위한 시설로 사업비 2천700억원을 들여 2014년 착공, 지난해 말 준공했다.
범대위는 오는 6일 빛가람 혁신도시 호수공원에서 'SRF가동 저지 및 사업 원점 재검토'를 요구하는 촛불집회를 할 예정이어서 이를 둘러싼 갈등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범대위 관계자는 "시민들의 반대에도 경제논리에 갇힌 한국지역난방공사는 쓰레기 연료 사용을 강행하고 있다"며 "나주시도 지난 6월 나주열병합발전소의 건축 승인을 내주는 등 문제 해결에 의지를 보이지 않아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하게 됐다"고 주장했다.
kj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