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여름 폭염으로 양식 물고기 21만2천마리 폐사…피해액 3억9천만원
(홍성=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충남도는 천수만 해역의 고수온 특보가 해제됨에 따라 고수온 현장대응팀 운영을 41일 만에 종료한다고 6일 밝혔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9/06/AKR20180906062000063_02_i.jpg)
천수만 창리지선의 평균 수온이 유례없는 폭염으로 지난 7월 26일 최고 수온이 28도를 웃돌자 고수온 주의보가 내려진 뒤 지난달 6일 고수온 경보로 격상됐다.
이어 태풍이 지나간 지난달 24일 처음으로 28도 아래로 떨어진 뒤 수온이 계속 떨어짐에 따라 40일 만인 지난 4일 자로 고수온 주의보가 해제됐다.
도와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 7월 27일부터 천수만 고수온 현장대응팀을 꾸려 어업 지도선을 활용해 양식장 예찰을 강화하는 등 종합 대응 활동을 펼쳐왔다.
양식어장에 차광막을 설치하고 액화 산소를 공급하는 등 사전 대응에 힘쓴 결과 비교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고 도는 전했다.
이번 폭염으로 인한 도내 양식 물고기 폐사는 9개 어가 21만2천마리로 전국 7개 시·도 폐사량(224개 어가 708만9천마리 폐사)의 3%에 그쳤다.
피해액은 3억9천900만원으로 전국 피해액(78억7천100만원)의 5%를 차지했다. 손해사정사가 최종 피해액을 집계 중이며, 피해 양식어가 모두 양식수산물재해보험 특약에 가입해 있어 전액 보험으로 보상받을 전망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9/06/AKR20180906062000063_01_i.jpg)
박정주 도 해양수산국장은 "사상 최장의 폭염에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던 것은 민·관이 힘을 모아 고수온에 대응했기 때문"이라며 "앞으로도 기후변화 등 고수온 문제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근본적인 대책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jyou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