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폭염 때 원전+석탄 에너지 거래량 비중 연중 최고

입력 2018-09-09 08:01  

올해 폭염 때 원전+석탄 에너지 거래량 비중 연중 최고
같은 기간 LNG+신재생 거래량 비중은 29.1%로 '뚝'

(서울=연합뉴스) 배영경 기자 = 역대급 폭염이 기승을 부렸던 올해 여름 원자력과 석탄으로 만든 에너지의 거래량 비중이 연중 최고치를 찍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액화천연가스(LNG)와 신재생 에너지 거래량 비중은 연중 최저치였다.
경제성에만 초점이 맞춰졌던 기존 국내 발전 체계를 친환경적으로 바꾸겠다는 현 정부의 정책 기조에 호응하지 못하는 수급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박맹우 의원이 9일 전력거래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폭염이 한창이던 지난 7월 전체 전력거래량은 4만8천989GWh였다.
이를 연료원별로 살펴볼 때 총 전력거래량 중 원자력(1만2천420GWh)과 석탄(2만1천243GWh)의 전력거래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25.4%, 43.4%로 나타났다.
이 둘을 합친 비중은 68.8%로, 올해 들어 가장 높았다.
원자력과 석탄의 비중은 1월 63.0%, 2월 65.4%, 3월 62.6%, 4월 62.6%, 5월 66.0%, 6월 66.1%로 줄곧 60%대 초중반에서 맴돌다가 7월에 70% 가까이 올라갔다.
반면 LNG와 신재생 에너지 거래량을 합친 비중은 7월에 올해 들어 처음으로 30% 밑으로 떨어진 29.1%를 기록, 연중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다.
정부가 발표한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골자는 그동안 경제성에만 맞춰 짜였던 국내 발전 체계를 더 안전하고 환경친화적으로 바꾸겠다는 것이었다.
경제성이 기준인 기존 체계에 따르면 전기 생산단가가 싼 원전과 석탄 발전이 먼저 가동되고, 그래도 부족하면 그보다 비싼 LNG·유류 발전 등이 돌아간다.
하지만 정부는 원전·석탄 에너지를 줄여가는 대신 신재생·LNG 발전이 이를 대체하도록 하는 '탈원전·탈석탄' 방향으로 에너지 정책 기조를 잡은 상태다.
애초 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발표됐을 때 기대가 컸던 민자 LNG 발전사 업계에선 정책이 유야무야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전망이 나온다.
익명의 한 업계 관계자는 통화에서 "폭염으로 전력 수급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예방정비를 마친 원전과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3∼6월 중단됐던 석탄발전소가 대거 가동된 것 같다"며 "정부가 에너지 정책을 전환한다면서 여전히 경제성 논리에 갇혀 있는 것 같아 답답하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정부는 에너지 정책을 펴는 데 정치적 가치에만 매몰될 것이 아니라, 각 에너지 연료원의 경제성·안전성·환경성을 따져 보다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에너지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산업부 관계자는 "에너지 전환은 앞으로 60년 이상 걸리는 정책으로, 현재는 로드맵을 제시한 것이지 액션에 들어간 것은 아직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여름철과 겨울철에는 전력 수요가 많아져 원전·석탄·신재생 등을 동원해 전력수급을 안정적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그동안 수리로 가동이 중지됐던 원전이 재가동되고, 미세먼지 문제로 중지됐던 석탄 발전소도 다시 가동에 들어가는 등 전력수급을 안정화하는 과정에서 비중이 올라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표] 올해 월별 연료원별 전력거래량 내역

(단위= GWh·%)
┌──┬────┬────┬────┬───┬───┬───┬──┬────┐
││ 원자력 │ 석탄 │ LNG │ 유류 │ 양수 │신재생│기타│ 합계 │
│││││ │ │ │││
├──┼────┼────┼────┼───┼───┼───┼──┼────┤
│1월 │ 9,357│ 22,361│ 14,796│ 1,331│ 302│ 2,136│ 39│ 50,322│
│├────┼────┼────┼───┼───┼───┼──┼────┤
││18.6│44.4│29.4│ 2.6│ 0.6│ 4.2│ 0.1││
├──┼────┼────┼────┼───┼───┼───┼──┼────┤
│2월 │ 8,364│ 20,120│ 12,094│ 822│ 269│ 1,864│ 34│ 43,567│
│├────┼────┼────┼───┼───┼───┼──┼────┤
││19.2│46.2│27.8│ 1.9│ 0.6│ 4.3│ 0.1││
├──┼────┼────┼────┼───┼───┼───┼──┼────┤
│3월 │ 8,794│ 19,002│ 13,430│ 811│ 299│ 2,037│ 42│ 44,415│
│├────┼────┼────┼───┼───┼───┼──┼────┤
││19.8│42.8│30.2│ 1.8│ 0.7│ 4.6│ 0.1││
├──┼────┼────┼────┼───┼───┼───┼──┼────┤
│4월 │ 8,976│ 16,446│ 12,532│ 217│ 278│ 2,131│ 40│ 40,620│
│├────┼────┼────┼───┼───┼───┼──┼────┤
││22.1│40.5│30.9│ 0.5│ 0.7│ 5.2│ 0.1││
├──┼────┼────┼────┼───┼───┼───┼──┼────┤
│5월 │ 10,842│ 16,704│ 11,331│ 326│ 314│ 2,163│ 43│ 41,723│
│├────┼────┼────┼───┼───┼───┼──┼────┤
││26.0│40.0│27.2│ 0.8│ 0.8│ 5.2│ 0.1││
├──┼────┼────┼────┼───┼───┼───┼──┼────┤
│6월 │ 10,782│ 16,904│ 11,445│ 303│ 320│ 2,091│ 37│ 41,882│
│├────┼────┼────┼───┼───┼───┼──┼────┤
││25.7│40.4│27.3│ 0.7│ 0.8│ 5.0│ 0.1││
├──┼────┼────┼────┼───┼───┼───┼──┼────┤
│7월 │ 12,420│ 21,243│ 12,075│ 620│ 396│ 2,190│ 45│ 48,989│
│├────┼────┼────┼───┼───┼───┼──┼────┤
││25.4│43.4│24.6│ 1.3│ 0.8│ 4.5│ 0.1││
└──┴────┴────┴────┴───┴───┴───┴──┴────┘
※상단은 전력거래량, 하단은 전체 전력거래량에서 해당 연료원의 거래량이 차지하는 비중임.
(자료=전력거래소) (서울=연합뉴스)
ykb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