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도군, 고금도 통제영과 조명수군 활동 재조명 국제학술세마나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9/10/AKR20180910114000054_01_i.jpg)
(완도=연합뉴스) 조근영 기자 = 전남 완도군은 10일 장보고 기념관에서 '고금도 통제영과 조명수군 활동 재조명 국제학술 세미나'를 열었다.
이번 세미나는 순천향대 이순신연구소와 완도문화원 주관으로 '이순신과 진린 420년만의 재회'란 주제로 이순신의 고금도 주둔 7주갑을 기념하고 통제영으로서의 고금도를 재조명하고자 마련됐다.
또 조명연합수군의 주둔지로서의 위상 확인 및 한중 우호관계 정착, 고금도 이순신 유적 발굴 및 활용 방안 강구도 염두에 뒀다.
제장명 순천향대 이순신연구소장은 '이순신의 수군재건 활동과 고금도 통제영'이란 주제로 세마나 첫 발표를 했다.
제장명 소장은 "이순신 장군이 고금도 통제영에서 5개월 간 서남해안 지역민의 희생 덕분에 수군을 재건할 수 있었으며, 명수군과 연합 작전을 수행해 노량해전 등 주요 해전에 승리 할 수 있었다"고 역설했다.
진금동 중국 광둥성 진린문화연구회 부회장은 '항일총수, 민족의 영웅-명나라 진린(陳璘) 장군을 기리며'란 주제로 진린장군의 일대기를 상세히 소개했다.
진린이 참가한 노량해전이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고대 8대 해전' 중 하나로 평가되고, 조선의 이순신은 '세계 사상 10대 걸출한 장교'로 평가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장경희 한서대 문화재보존학과 교수는 '진린 장군 재평가와 관왕묘 복원' 주제로 진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그는 "진린은 청렴하고 조선을 위해 힘을 다한 명장이었다"고 분석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이충무공호국정신선양회 이석근 이사장을 비롯해 이순신 선양기관장과 완도군민, 전국의 문화원 관계자, 중국 진린 도독 후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완도군은 이번 국제학술 세미나 자료를 이순신과 진린 장군의 선양사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chog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