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황재훈 논설위원 = 한반도에 가을이 왔다. 지독했던 폭염이 끝나고 아침저녁으로 긴 소매 셔츠부터 찾는 계절이 됐지만, 5개월 전 꿈꿨던 그 가을은 아직 아니다. 지난 4월 남북 두 정상의 판문점 도보다리 대화 모습, 눈길을 떼지 못했던 6월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의 감동은 여전하지만 이후 지난 몇 개월 전개된 한반도 정세는 기대 이하였다.
분단 이후 대한민국 대통령으로는 세 번째로 문재인 대통령이 내주 평양을 찾는다. 2007년 금단의 '노란 선'을 걸어서 넘었던 노무현 전 대통령을 배웅했던 문 대통령이, 11년 뒤 직접 평양길에 오른다. 가을은 왔지만 봄에 꿈꿨던 한반도의 가을 모습은 아니기에, 방북길에 오르는 어깨가 더 무겁다. 한반도 정세는 여전히 불안정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워터게이트 사건' 특종기자인 밥 우드워드 워싱턴포스트(WP) 부편집인의 신저 '공포 : 백악관의 트럼프(Fear:Trump in the White House)'는 한반도를 둘러싼 불안정성의 일단을 보여줬다. 트럼프가 대통령에 취임한 지 한 달여 뒤 북한에 대한 선제적 군사공격 방안 마련을 요청했다는 등의 책 내용은 충격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초 주한미군 가족 수천 명에게 한국을 떠나라는 '트위터 명령'을 내리기를 원했다는 내용도 공개됐다. 트럼프가 "사기"라고 강하게 부인하지만, CNN 등의 평가는 책 내용이 '사실'이라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
1년 전 이맘때 한 정부 관계자가 사석에서 했던 말이 떠오른다. "우리 정부가 정말 어려운 게 예전에는 미국 당국자들과 협의를 진행해서 딱 결론이 나면 그렇게 믿고 가면 됐다. 그런데 지금은 그렇게 해 놓은 뒤에도 트럼프의 트위터 한 번으로 다 무너진다. 우리 로드맵도 그때마다 다 수정해야 한다. 몇 번을 그렇게 했는지 모른다"는 말이었다. 지난 1년간 한반도 상황은 많이 변했지만, 트럼프 트위터에 춤출 수밖에 없는 불안한 본질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복잡한 국제정치 역학과 지정학적 요소가 작용하는 엄중한 현실 속에서 우리는 북한과 미국을 상대하며 평화와 번영을 위한 한반도 운전자 역할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이런 사정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도 모를 리 없다. 평양 정상회담에서 비핵화와 평화정착을 위한 우리의 노력에 적극 화답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다.
비핵화와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큰 주문은 곳곳에서 나오고 있기에, 그것 외에 잊지 말았으면 하는 당부를 하나 덧붙이고 싶다.
올해처럼 폭염이 내리쬐던 1983년 여름이었다. 일회성으로 6월 말 방송된 이산가족 찾기 프로그램은 예상도 못 한 수많은 이산가족의 아픔과 함께 생방송을 이어갔다. 단일주제 생방송 기록을 남기며 그해 11월 중순까지 총 453시간 45분 동안 방송됐고, 모두 10만952건의 신청 건수가 접수되어 1만180여 이산가족이 상봉했다. 그해 여름은 그냥 '눈물바다'였다.
지난달 금강산에서 열린 이산가족 상봉행사는, 35년 전 한여름의 잊을 수 없었던 기억을 소환했다. 가물에 콩 나듯 몇 년에 한 번씩, 열렸다가 말기를 반복하는 현재의 상봉 행사가 분단 70년 이산가족의 아픔을 해소하기에 턱없이 부족하지만 그래도 반갑고 고마웠다. 그러나 고령화로 해마다 숨지는 이산가족이 남쪽에만 수천 명에 이르는 현실은 더는 우리가 이 문제를 외면해서는 안 될 시기가 왔음을 보여준다.
이번 평양 회담이 해묵은 인도적 문제에 대한 근본적 해법을 확실히 마련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이산가족 문제, 국군포로, 납북자 문제 등은 남북관계가 지금같이 크게 호전됐을 때에야 해법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4월 판문점 선언에서 '민족 분단으로 발생한 인도적 문제'의 시급한 해결 노력을 약속했다.
올들어 남북관계, 비핵화 문제가 지금까지 진전된 것은 두 정상의 의지가 주효했다. 실무선의 협의가 아닌, 남북 정상의 '톱다운' 방식 결심이 결정적이었다. 인도주의 문제도 마찬가지다. 그렇지 않고 또 밑에 맡긴다면 부지하세월이다.
2007년 10·4선언에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진전된 해법이 어느 정도 들어가 있다. 상봉 확대와 영상편지 교환사업, 금강산면회소 완공과 쌍방 대표 상주, 상시 상봉 진행 등이 포함됐다. 내주 평양 정상회담에서 11년 전 약속을 확인하고, 우선 전면적인 생사확인 합의부터 이뤄진다면 바랄 게 없겠다. 한국판 '디아스포라' 이산가족의 피맺힌 한(恨)에 응답해야 할 때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