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무역긴장에도 기술주 회복 상승 출발

입력 2018-09-10 22:52  

뉴욕증시, 무역긴장에도 기술주 회복 상승 출발

(뉴욕=연합뉴스) 오진우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10일 미국과 중국의 무역충돌 가능성을 주시하는 가운데도 기술주 주가 회복에 힘입어 상승 출발했다.
오전 9시 41분(미 동부시간) 현재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7.88포인트(0.38%) 상승한 26,014.42에 거래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3.19포인트(0.46%) 오른 2,884.8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0.19포인트(0.26%) 상승한 7,922.73에 거래됐다.
시장은 미국의 대중국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과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나프타) 재협상 등 무역 관련 이슈를 주시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주 중국산 제품 2천670억 달러어치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할 준비가 됐다고 위협했다.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위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대중국 관세로 경영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우려한 애플이나 포드 등에 대해 미국으로 생산 기반을 옮기라고 압박했다.
중국 외교부의 겅솽 대변인은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시 반드시 대응조치를 할 것이라고 대응했다.
긴장감이 팽팽하지만,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등 실체적인 위험 요인은 아직 현실화하지 않은 만큼 시장도 큰 불안을 노출하지는 않고 있다.
지난주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던 주요 기술주가 이날 개장 전부터 회복세를 보인 점이 주가 반등에 도움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JP모건이 기술주 하락이 과도했다는 분석을 내놓는 등 기술주에 대한 전망은 엇갈리는 중이다. 비어드는 최근 주요 임원의 줄사퇴 등으로 주가가 급락한 테슬라에 대한 매수 주문을 내놓기도 했다.
또 극우 정당 출신 마테오 살비니 이탈리아 부총리가 유로존의 재정준칙을 준수하겠다는 입장을 반복해 밝히면서 국채금리가 빠르게 하락하는 등 이탈리아 시장이 안정된 점도 투자 심리 개선에 도움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이날 개장전 거래에서는 테슬라 주가가 3% 이상 올랐다. 아마존 주가도 개장전 0.8%가량 상승했다.
반면 애플 주가는 보합권에서 등락을 거듭하다 개장 직후에는 1%가량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날 개장 전에는 주요 지표 발표가 없었다. 개장 이후에는 8월 고용추세지수와 7월 소비자신용이 발표된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의 연설도 예정됐다.
뉴욕 증시 전문가들은 지난주 기술주의 하락이 과도했을 수 있다는 진단을 내놓고 있다.
채킨 애널리틱스의 마크 채킨 대표는 "상장지수펀드(ETF)의 기술주 집중 문제 탓에 매도 압력이 가중됐다"며 "일단 매도 주문이 들어오면 ETF는 기업 펀더멘털이나 유동성에 상관없이 주식을 팔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술주 주가의 조정은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매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유럽 주요국 주가는 올랐다. 범유럽지수인 Stoxx 600지수는 0.61% 상승했다.
국제유가는 상승했다. 10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0.74% 상승한 68.23달러에, 브렌트유는 0.90% 상승한 77.52달러에 움직였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9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98.4% 반영했다.
jwo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