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71곳서 성인문해교육 시화전 등 행사 마련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9/11/AKR20180911069500004_02_i.jpg)
(세종=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 '1번 찍어야 혀. 이번에는 꼭 2번 찍어야 혀. 선거 때만 되면 남편이 정해준 대로 번호만 보고 도장을 찍었다. 이번에도 번호를 정해주고 그 번호에 찍으라 한다'
충남 서천군청 행복서천 문해교실 학생인 장현명(74)씨는 글을 몰랐다.
3남 3녀 중 둘째 딸로 태어나 글을 배울 기회는 남자 형제들에게 양보하고 살림과 일을 먼저 배워야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선거 때가 되면 자신이 투표할 사람의 이름도 읽지 못한 채 남편이 찍으라는 번호에 도장을 찍었다.
하지만 문해교실에서 글을 배우면서 올해는 조금 다른 마음가짐으로 선거를 치렀다.
기표용지에 쓰인 후보자들의 이름 석 자를 또박또박 읽고 믿을만하다고 생각되는 사람 이름 옆에 도장을 꾹 찍었다.
찍으라는 번호를 잘 찍었느냐고 묻는 남편에게 장 씨는 큰 소리로 대답했다.
"투표는 비밀이야"
장 씨는 처음으로 후보자들의 이름을 읽고 투표하면서 느낀 설렘을 글과 그림으로 풀어냈다.
장 씨의 작품은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문해(文解)의 달인 9월을 맞아 주최한 시화전 공모에서 다른 9개 작품과 함께 최우수작으로 선정됐다.
어린 시절에는 어려운 가정형편 때문에, 나이 들어서는 주변의 시선 때문에 배움의 기회를 놓친 약 1만2천명이 시화 속에 자신의 사연을 펼쳐냈다.
문해교육은 문자를 읽고, 쓰고, 셈하는 능력을 포함해 일상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사회적·문화적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정부는 글을 모르는 이들에 대한 사회 인식을 개선하고 문해교육 참여율을 높이고자 유네스코 '세계 문해의 날'(9월 8일)이 포함된 이달을 문해의 달로 정해 홍보하고 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9/11/AKR20180911069500004_03_i.jpg)
교육부는 12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대한민국 문해의 달 선포식'을 열어 시인 김용택 씨와 한복선 요리연구가를 문해교육 홍보대사로 위촉한다고 11일 밝혔다.
행사 당일에는 금융·교통·생활영어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체험부스와 가상현실(VR) 운전체험 기회를 마련하고, 시화전 전시회도 연다. 시화전은 11월까지 전국 71곳에서 열린다.
2014년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조사에 따르면 일상에서 필요한 읽기·쓰기·셈하기가 어려운 18세 이상 성인은 전체 성인의 6.4%인 264만명으로 추정된다.
박춘란 교육부 차관은 "문해교육은 국가가 미처 책임지지 못 한 분들에 대한 최소한의 책무를 다하는 것"이라며 "문해 학습자의 배움을 계속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cind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