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길역 사고 책임 다하지 못한 점 사과…원스톱 휠체어 이동 서비스 강화"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7/02/PYH201807021531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윤고은 기자 = 지하철역에서 안전한 이동권을 보장하라는 장애인단체의 시위가 이어지자 서울교통공사가 11일 장애인의 이동권 증진과 안전을 위해 책임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는 "지난해 신길역에서 발생한 사고는 참으로 안타까운 사건으로 공사가 책임을 다하지 못한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장애인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안전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지하철에서 리프트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지난해 10월20일 1호선 신길역에서 장애인 한경덕 씨가 지하철 리프트를 타려다 계단 아래로 떨어져 중상을 입고 98일간 사경을 헤매다 숨졌다.
이 사고에 대해 장애인단체들은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가 책임을 인정하라면서 지하철역 장애인 리프트를 철거하고 모든 역사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등 장애인의 안전한 이동권 보장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여왔다.
서울교통공사는 출범 이후 지하철 역사 내에서 14건의 크고 작은 휠체어 이용 관련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휠체어 이용 장애인 안전대책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7/02/PYH2018070215420001300_P2.jpg)
공사는 지난달 22일 '제3차 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 계획'을 통해 엘리베이터가 없는 27개역 중 11개역은 2020년까지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고, 역사 내부구조 등 물리적 한계로 엘리베이터 설치가 어려운 16개 역사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올해 안으로는 신길역과 광화문역에 엘리베이터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공사는 이와 함께 장애인이 전화 등으로 요청하면 역무원이 직접 승차 역 입구에서부터 하차 역 출구까지 원스톱으로 이동을 도와주는 서비스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공사는 현재 모바일 앱 '또타 지하철'을 통해 이용하고자 하는 역의 편의시설(엘리베이터, 휠체어리프트 등) 가동 현황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공사는 또한 장애인 편의시설을 점검해 보완하고, 교통약자의 동선을 조사해 경사로 설치·엘리베이터 앞 동선 분리 안내표지 확충 등 교통약자의 지하철 이용 불편사항을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prett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