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국내 연구진이 해로운 곰팡이독소를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박성규 재료연구소 책임연구원팀은 주재범 한양대 교수팀과 함께 극미량의 곰팡이독소를 검출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곰팡이독소는 인체에 독성이 있으며, 일부의 경우 발암물질로 알려졌다. 이에 식약처는 곰팡이독소의 식품 내 허용기준치를 정해 관리하고 있다.
현재 흔히 쓰는 방법으로는 곰팡이독소를 1ppb(10억분의 1) 수준으로 검출할 수 있다. 연구진은 식품 안전성을 높이려, 검출 민감도를 향상한 새 검출법을 개발했다. 금 나노구조체를 붙인 검출 기판에 레이저를 쏴 생기는 신호를 평가하는 식이다. 연구진은 새 방법으로 0.01ppb 이하의 아플라톡신, 푸모니신, 오크라톡신 등의 곰팡이독소를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9/17/AKR20180917097100017_01_i.jpg)
박성규 책임연구원은 "곰팡이가 만드는 유해 독소는 일반적인 조리과정으로 제거되지 않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며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생활 안전 및 보건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성과는 지난달 국제학술지 '스몰'(Small)에 실렸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기반으로 현재 국내 광학기기 제조업체와 함께 휴대형 곰팡이독소 검출기를 개발하고 있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