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론화위원회, 시민단체와 합의안 수용…21일 2차 회의서 의제 등 논의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9/17/PYH2018091716730005400_P2.jpg)
(광주=연합뉴스) 김재선 기자 = 광주도시철도 2호선 공론화 방식이 '숙의형 공론화'로 확정됐다.
18일 광주도시철도 2호선 공론화위원회에 따르면 전날 7명의 위원 전원이 참석해 첫 회의를 열어 애초 시민단체와 합의한 대로 '숙의형 공론화 방식'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 공론화위원회는 "공론화 방식은 '숙의형 공론화 방식'으로 진행하되 신고리 5, 6호기 방식에 준한다"고 결정했다.
도시철도 2호선의 공론화 기간과 목적 등을 고려할 때 이 방식이 광주형 모델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또 공론화위원회 운영은 4개 분과(법률·조사통계·소통·갈등)로 하되 유연하게 운영하기로 했다.
위원회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회의에 방청을 허용하지 않고 회의결과를 바로 공개하기로 했다.
공론화 의제는 2차 회의에서 찬반 양측의 의견을 듣고 논의하기로 했다.
또 공론화 추진일정, 1차 조사 규모와 방식, 설문지 작성 등에 관해서는 위원 간 역할분담을 통해 진행할 계획이다.
오는 21일 열리는 2차 회의에서는 공론화 의제, 1차 회의 때 결정한 역할분담의 추가 논의, 검증위원회·자문위원회·소통협의회 구성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최영태 공론화위원회 위원장은 "시민이 현명하고 최종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공정한 규칙을 만들고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공론화위원회는 최영태 광주시 시민권익위원장을 위원장으로, 박강회 변호사(법률), 홍기학 동신대 교수(조사통계), 김기태 호남대 교수·김은희 전남대 교수(소통), 김미경 조선대 교수·박태순 사회갈등연구소 소장(갈등관리)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앞으로 매주 1차례 이상의 전체 회의와 분과별 회의를 열어 도시철도 2호선 건설 여부·건설 방식 등과 관련한 공론화를 논의한다.
여론조사를 통해 선임되는 300∼350명의 시민참여단은 정보제공과 토론, 1박 2일 합숙 토론 등을 거쳐 도시철도 2호선 건설과 관련한 최종 권고안을 오는 11월 10일까지 내놓을 계획이다.
도시철도 2호선은 광주시청∼백운광장∼광주역∼첨단∼수완∼시청으로 이어지는 41.9㎞의 순환선이다.
1994년 3월 1호선과 함께 기본계획 승인 뒤 2010년 12월 예비 타당성 검토, 2011년 11월과 2013년 12월 두 차례 기본계획 변경을 거친 뒤 논란 끝에 저심도 지하방식으로 결정됐다.
민선 6기 윤장현 시장 취임 후 건설 여부 재검토에 건설방식까지 오락가락하면서 제자리 걸음했다가 민선 7기 이용섭 시장이 공론화 방식을 통해 결정하겠다고 하면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kj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