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가보고 싶다" 문 대통령 언급 기억했다 '소원 성취'
'혁명 성지'·'정치적 결심의 현장' 백두산 의미도 감안한 듯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12/09/PYH2017120901500001300_P2.jpg)
(평양·서울=연합뉴스) 평양공동취재단 백나리 기자 = 공항 영접과 카퍼레이드 동승으로 문재인 대통령을 극진히 대접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백두산 동반 방문'이라는 파격을 또 꺼내 들었다.
19일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의 평양 프레스센터 브리핑에 따르면 20일 있을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백두산 동반 방문은 김 위원장의 제안으로 이뤄졌다.
김 위원장은 지난 4·27 정상회담 때 문 대통령이 "나는 백두산에 안 가봤다"며 "중국을 통해 가는 분들이 많더라. 나는 북측을 통해 백두산에 꼭 가보고 싶다"고 말한 것을 기억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이 백두산을 콕 집어 언급했던 것을 잊지 않았다가 이번 평양 방문 계기에 '소원'을 이뤄준 셈이다.
이는 문 대통령을 최대한으로 예우하겠다는 '성의'의 일환으로 보인다. 2박 3일이라는 짧은 평양 방문 일정에 백두산까지 다녀오려면 의전과 경호 등에 있어 많은 준비가 필요한 데도 기꺼이 문 대통령을 위해 '백두산 방문'이라는 선물을 준비한 것이다.
김 위원장이 '백두산 동반 방문'을 제의한 데는 북한 지역에서 백두산이 갖는 남다른 의미도 반영됐을 것으로 관측된다.
![](http://img.yonhapnews.co.kr/etc/graphic/YH/2018/09/19/GYH2018091900160004400_P2.jpg)
백두산은 북측 지역뿐만 아니라 남측 지역에서도 '민족의 명산'으로 인정받아 왔지만 북한은 백두산을 김일성 주석의 항일 빨치산 투쟁의 근거지이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태어난 '혁명의 성지'로 선전해 왔다.
김 위원장 개인에게도 백두산은 정치적으로 각별한 의미가 있는 곳이다.
부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2011년 말 정권을 잡은 김 위원장은 중대 결심이 이뤄지는 고비 때마다 백두산을 찾았다.
집권 후 가장 먼저 백두산을 찾은 것은 2013년 11월 말인데, 곧이어 12월 초 고모부인 장성택에 대한 숙청 작업이 이뤄졌다.김정일 위원장 사망 후 '3년 탈상'을 앞둔 2014년 11월 말에도 김 위원장은 백두산 천지까지 직접 올랐고 2015년 1월 1일 신년사로 남북관계 개선 의지를 내보이며 정상회담 개최 용의까지 피력했다.
지난해 12월 초에도 김 위원장이 백두산을 찾았다는 북한 매체 보도가 있었다. 당시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5'를 쏘아 올려 핵무력 완성을 선언한 뒤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이었고 한 달도 안 돼 김 위원장은 신년사를 통해 정세 전환의 의지를 드러냈다.
이 때문에 김 위원장은 백두산에 올라 문 대통령에게 핵무력 완성으로 내달리다 방향을 급거 전환한 결심의 배경 등을 설명하며 다시금 북미협상 중재를 위한 협조를 강조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통령-김 위원장, 내일 함께 백두산 방문"…靑 브리핑 / 연합뉴스 (Yonhapnews)
[풀영상] 남북정상회담 서명식부터 공동기자회견까지 / 연합뉴스 (Yonhapnews)
nar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