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연합뉴스) 전지혜 기자 = 제주4·3 7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가 다음 달 4∼6일 제주칼호텔에서 열린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9/27/AKR20180927066400056_01_i.jpg)
'제주4·3, 진실과 정의-지속가능한 정의를 향하여'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학술대회는 4·3 70주년을 맞아 4·3을 국가적, 국제적 차원에서 조망하기 위해 유사 사례를 살펴보고 국내·외 민주연구단체들이 모여 경험을 공유하는 행사로 마련됐다.
학술대회는 총 3개 세션으로 나눠 진행된다.
첫날(10월 4일) 제1세션 '냉전, 학살, 미국의 책임'에서는 냉전 체제에서 일어난 과거사의 비극과 미국의 개입에 대해 살펴본다. 1960년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일어난 대학살과 1940년대 후반 그리스 내전, 같은 시기에 일어난 4·3 전개과정과 그 속에서 있었던 미국의 역할을 집중 조명한다. 베드조 운퉁 인도네시아 대량학살희생자조사재단 대표 등의 주제발표와 토론이 이어진다.
이어 개회식에서는 4·3평화재단이 시상하는 4·3특별공로상 수상자인 김명식 시인이 '제주4·3 민족민중항쟁의 진실과 정의'를 주제로 기조강연한다.
둘째날(10월 5일)에는 제2·3세션이 진행된다.
제2세션 '저항, 학살, 국가의 책임'에서는 대만 2·28사건의 재조명 과정, 과테말라의 열띤 냉전과 제노사이드: 1980년대 초 원주민 학살, 4·3, 공동체 저항의 역사 등에 대한 주제발표가 이뤄진다.
제3세션 '진실, 정의, 연대'에서는 올해 막사이사이상 수상자인 육창 캄보디아 슬레우크 리트 연구소 대표가 '세계적 맥락에서의 캄보디아 제노사이드 성찰: 전략적 계획'에 대해 기조강연한다. 이어 '인도네시아 20년간의 개혁 이후에도 계속되는 정치실현의 격변', '차별과 억압 속 오키나와의 저항의 역사', '5·18민중항쟁 전개와 명예회복 과정', '진실과 정의의 역사를 위한 여정', '함께 연대한 4·3 70주년, 이제 시대와 연대해야' 등의 주제발표와 자유토론이 이뤄진다.
마지막 날(10월 6일)에는 참가자들이 함께 4·3 평화공원과 4·3 유적지를 둘러보는 시간이 마련된다.
이번 학술대회는 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가 주최하고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학술위원회와 제주4·3연구소가 주관한다.
5·18연구소 등 학술연구단체, 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와 범국민위원회 소속 단체 관계자들이 참가하고 외국에서는 일본 4·3오사카 실행위원회, 제주4·3을 생각하는 모임 도쿄, 캄보디아의 슬레우크 리트 연구소, 인도네시아 콘트라스, 오키나와여성행동모임 등도 참여해 연대와 교류활동을 한다.
atoz@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