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산불방지센터 업무 돌입…재난성 대형산불 없어질까

입력 2018-10-01 07:15  

동해안산불방지센터 업무 돌입…재난성 대형산불 없어질까
예방·신고접수·진화·복구까지 일원화해 효율성 높여
헬기투입 보고체계 4단계→1단계 간소화…골든타임 확보 기대


(춘천=연합뉴스) 박영서 기자 = 강원 동해안권역 대형산불 방지와 진화·지휘체계 강화를 위한 상설기구 '동해안산불방지센터'가 1일 본격적인 업무에 들어갔다.
도와 동해안 6개 시·군, 산림청, 기상청, 소방 등으로 구성한 전국 최초의 산불협업조직 출범으로 동해안에 대형산불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동해안산불방지센터 설립으로 말미암은 가장 큰 변화는 산불 예방부터 산불 발생 시 신고접수와 진화, 복구까지 이르는 수행체계의 일원화다.
기관별로 산불 위험시기에 비상체계를 유지했던 이전과 달리 산불방지센터는 24시간 3교대 근무로 통합 대응·협업체계를 유지한다.
신고체계도 산불 상황 공유가 미흡했던 과거와 달리 산림·소방 협업근무체계로 산불신고를 접수하고, 산불 상황을 즉각 공유한다.
특히 산불진화 주력수단인 진화헬기 투입 과정을 줄인 점은 신속한 초기 진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진화헬기를 띄우기 위해서는 '시·군→도 상황실→산림청 상황실→항공본부→항공관리소'까지 4단계에 걸쳐 보고체계가 이뤄져야 했지만, 앞으로는 산불방지센터에서 항공관리소에 요청하면 곧장 헬기를 띄울 수 있다.
자치단체장이 산불현장을 통합지휘 했으나 산림·소방당국이 각자 역할을 수행해 일사불란한 지휘가 곤란했던 점도 통합지휘본부를 운영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인다.
예방과 진화는 물론 복구에 이르기까지 산불 관련 업무를 산불방지센터가 수행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혼선을 빚을 필요가 없다.

그동안 동해안은 봄철이면 지형적 특성으로 발생하는 양간지풍(襄杆之風) 탓에 대형산불이 빈번해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2005년 4월에는 양양에서 대형산불이 나 천년고찰 낙산사가 불에 탔고, 지난해 5월에는 강릉과 삼척에서 발생한 대형산불로 산림 1천17㏊와 주택 36채가 불에 타 38가구 81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올해도 현재까지 800㏊가 넘는 전국 산불피해면적 중 77%가 강원지역 산림이다.
산불방지센터는 우선 강릉시 주문진읍 국립 동해수산연구소에 임시 개소했으며, 내년 강릉시 연곡면 송림리 양묘사업소 내에 착공해 2021년 완공될 예정이다.
초대 소장에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정선 알파인스키장 소방안전대책을 빈틈없이 수행한 소기웅 전 정선소방서장이 임명됐다.
강원도소방본부는 동해안산불방지센터 설립으로 환동해특수재난대응단과 동반 상승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
환동해특수재난대응단은 강원소방에서 대형산불 대응을 비롯해 특수재난에 대처하기 위해 만든 조직으로 동해안산불방지센터 설립과 관계없이 산불진화헬기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산불방지센터 설립으로 지휘체계가 일원화됨으로써 산불 발생 시 골든타임을 사수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nany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