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종 개량해 품종 등록, 이달부터 3t가량 본격 출하
지름 60㎜·무게 80g…여느 대추보다 4∼5배 크고 달아
(보은=연합뉴스) 박병기 기자 = 대추 주산지인 충북 보은의 한 농가에서 달걀만한 크기의 왕대추가 생산되고 있다. 알만 굵은 게 아니라 달고 아삭거리는 식감도 여느 대추를 능가한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0/03/AKR20181003036500064_01_i.jpg)
'천상(天上)'이라고 이름 붙인 이 대추는 농민 정용우(57)씨가 돌연변이 나무를 찾아내 반복적으로 접을 붙이는 육종과정을 거쳐 탄생시켰다. 2016년 국립종자원에 정식으로 품종 등록도 했다.
천상은 여느 대추에 비해 4∼5배 알이 굵다. 드물게 지름 60㎜, 무게 80g에 달하는 '대물'도 나온다.
당도 역시 32∼34브릭스여서 일반 대추(25브릭스 안팍)보다 달다.
3년 전 정씨 농장을 찾은 이시종 충북지사는 굵은 알과 단맛에 반해 방명록에 '신이 내린 대추'라는 글을 남겼고, 이듬해 방문한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도 "지금껏 맛본 최고의 대추"라고 엄지손가락을 치켜 세웠다.
1만2천㎡에 달하는 정씨 농장에는 1천500그루의 천상대추가 자라고 있다. 이달 수확을 시작했는데, 어린아이 주먹만한 왕대추가 하루 200∼300㎏씩 쏟아져 나온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0/03/AKR20181003036500064_02_i.jpg)
정씨는 "아직 나무가 어린 상태지만, 올해는 농사가 잘돼 3t가량 수확이 가능할 전망"이라며 "소문을 듣고 벌써부터 주문이 쇄도한다"고 즐거워했다.
그의 대추는 크기에 따라 1상자(1㎏)당 3만∼7만원씩 출하된다. 만만치 않은 가격이지만, 한번 맛본 사람들의 재구매가 많아 없어서 못 팔 지경이다.
그는 다른 농가에 보급하기 위해 최근 5만 그루의 묘목을 생산했다. 전국에서 묘목을 구하려는 문의가 쇄도하지만, 그는 주변 농가에만 이 묘목을 공급할 계획이다.
정씨는 "새 품종은 대추에 치명적인 빗자루병이 없고, 낙과량도 적어 농사짓기 편하다"며 "보은 대추의 명성을 지키는 차원에서 당분간 외지 유출을 제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0/03/AKR20181003036500064_03_i.jpg)
보은은 경북 경산과 더불어 전국 최대 대추 생산지다. 1천400여 곳의 농가가 740㏊의 농사를 지어 한 해 2천600t의 대추를 생산한다.
이곳에서는 이달 12∼21일 싱싱한 대추를 직접 맛보고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대추축제가 열린다.
bgi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