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평양초청' 김정은 뜻 전달…또 하나의 '데탕트' 촉진제 될까
북미회담 '빅딜' 눈앞에 두고 아셈 참석…'동북아 새질서' 구상 지지확보
안보리 상임이사국 프랑스 방문…유엔 대북제재 논의 진전 주목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비핵화의 중대 관문으로 꼽히는 2차 북미정상회담을 눈앞에 두고서 이번 주 유럽 순방길에 오른다.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논의가 속도를 내는 시점에 내년 베를린장벽 붕괴(1989년 11월 9일) 30주년을 앞둔 유럽을 찾는다는 점에서 이번 일정은 상징적 의미가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특히 문 대통령이 전날 국무회의에서 지구 상에 마지막 남은 냉전체제 종식이라는 함의를 가진 '동북아의 새로운 질서'를 강조한 만큼, 순방 초점은 이와 같은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끌어내는 데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청와대 내부에서는 순방을 통해 한반도 평화에 대한 유럽 등 국제사회의 지지를 확보한다면, 최근 탄력받기 시작한 북미 간 비핵화 '빅딜 담판'의 동력도 한층 끌어올릴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도 번지고 있다.
문 대통령은 13일부터 7박9일 일정으로 진행되는 순방에서 프랑스·이탈리아·교황청 방문 및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아셈(ASEM·아시아유럽정상회의) 정상회의 참석 등 다양한 일정을 소화한다.
이 중에서도 주목할 일정은 교황청 방문으로, 특히 문 대통령은 프란치스코 교황을 만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평양 방문 요청 뜻을 전달할 계획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평양 초청은 지난 3차 남북정상회담 기간 문 대통령이 먼저 제안한 아이디어다.
당시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에게 "프란치스코 교황님이 한반도 평화와 번영에 관심이 많다. 교황님을 한 번 만나보는 게 어떠냐"고 했고, 이에 김 위원장은 "교황님이 평양을 방문하시면 열렬히 환영하겠다"라고 환대 의사를 밝혔다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김 위원장의 초청을 수락할지는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
다만 프란치스코 교황이 그동안 남북정상회담 및 북미정상회담 등 주요 계기마다 한반도 평화를 기원하는 메시지를 발표해 왔다는 점에서, 김 위원장의 이런 메시지에 의미 있는 답변을 내놓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 경우 최근 한반도 해빙 무드에 또 하나의 촉진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통령이 18∼19일 유럽정치의 본산인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아셈(ASEM·아시아유럽정상회의)에 참석해 도날트 투스크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 및 장클로드 융커 집행위원장과 한·EU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것 역시 동북아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감대를 넓히는 중요한 일정으로 꼽힌다.
전쟁의 역사로 점철된 유럽, 그중에서도 EU 체제는 그 자체가 지금도 실험이 거듭되고 있는 초대형 '평화 프로젝트'이다.
이제까진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질서 구축은 좁게는 남·북·미, 이에 더해 동북아 국가들 위주로만 논의가 이뤄져 왔다.
그러나 문 대통령이 지난달 유엔총회 연설에서 종전선언의 중요성을 강조한 데 이어 이번에는 유럽으로 평화 프로세스의 무대를 확장하는 모양새다.
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EU는 국제질서를 떠받치고 지탱하는 큰 기둥"이라며 "EU에서의 성과가 다시 동북아에서의 새로운 질서를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순방 국가 가운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인 프랑스가 포함돼 있다는 점도 주목할 지점이다. 유럽의 만40세 '신성'이자 어느 정도 '영웅주의'가 요구되는 시대라는 신념을 가진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등장은 좋은 의미든, 나쁜 의미든 현대 프랑스 재발견의 시험기로 간주된다. 한국정부는 최근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에게 양국의 우호증진 공로를 인정해 무궁화대훈장을 수여하기로 했다.
김 대변인은 문 대통령의 프랑스 방문 의의와 관련해 "외교·안보 협력을 제고할 것"이라고 짧게 설명했지만, 문 대통령이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프랑스 방문에서 유엔의 대북제재 문제를 어떤 식으로든 거론할 것인지도 주목된다.
물론 문 대통령은 대북제재 문제에 대해서는 국제사회와 보조를 맞출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지난 한미정상회담에서도 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대북제재를 지속하겠다는 내용의 회담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다만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방미 직전 기자들을 만나 대북제재에 대해 "'제재를 위한 제재'가 아닌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한 제재가 돼야 한다. 비핵화의 구체적 조치가 실현돼 남북관계의 장애요소가 되는 제재에 긍정적 영향이 있으면 좋겠다"고 언급,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서라도 대북제재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인식을 드러낸 바 있다.
여기에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 따르는 미국의 '상응조치' 중 하나에 대북제재 변화도 포함될 수 있다는 예측이 꾸준히 나오는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프랑스 방문에서 대북제재 문제를 논의한다면, 과연 어느 수준까지 가능할지도 관심거리다.
hysup@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