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속도'에서 '사람·안전' 중심으로 패러다임 전환
(부산=연합뉴스) 김상현 기자 = 앞으로 부산 원도심과 해운대 등 주요 관광지에 노면전차인 트램이 달리고 울산과 창원 등을 부산 도심과 연결하는 광역권 철도망이 구축된다.
부산시는 지금까지 '차량·속도' 중심의 교통정책을 '사람·안전' 중심으로 전환하는 민선 7기 대중교통 혁신정책을 15일 발표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0/15/AKR20181015061700051_01_i.jpg)
시는 도시철도 중심의 교통정책 수립, 버스운영개선, 대중교통 환승 환경 개선,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안전 중심 보행환경 조성 등 5대 전략을 추진해 2021년까지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 50%를 달성할 계획이다.
먼저 도시철도 중심의 교통정책을 위해 사항∼하단선, 하단∼녹산선, 용호선, 양산선, 강서선, 정관선 등 도시철도망을 확충한다.
제2의 도시철도 기능을 하게 될 동해선과 부전∼마산선 등 동남권 광역철도망은 도시철도와 연계한다.
부산 원도심 도시재생 지역과 해운대 등 주요 관광지에는 트램을 도입해 관광을 겸한 도시철도 이용 서비스를 개선하기로 했다.
시민 의견을 물어 공사를 계속하기로 한 중앙버스전용차로(BRT) 사업은 기존 운촌∼중동, 내성∼양정 구간은 지난 11일부터 공사를 재개했고 내성∼충무 24.9㎞ 구간도 2021년까지 공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6/10/21/PYH2016102118740005100_P2.jpg)
시내버스 준공영제는 시민단체와 전문가가 참여하는 검증단을 구성해 조속히 개선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운송비용 유용 등 비리 행위가 적발되면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적용해 시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고 3차례 적발되면 준공영제 대상에서 퇴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부산지역 시내버스 143개 모든 노선은 빅데이터 분석을 새로 해 도시철도와 중복노선을 없애는 등 제로 베이스에서 혁신안을 마련해 도시철도 중심의 대중교통체계를 구축한다.
이와 함께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고자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요금제를 다양화하고 어린이 요금을 무료화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부산시는 이 같은 교통혁신정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기 위해 부산시, 부산교통공사, 시내버스·마을버스조합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그동안 차량 중심의 교통시설 확충과 도시철도·시내버스 중복 및 과당경쟁 등으로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은 계속 낮아지고 시민 불편이 가중돼왔다"며 "앞으로 사람과 안전에 중점을 둔 교통정책으로 시민들이 행복하고 안전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josep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