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6/09/23/PYH2016092334680005700_P2.jpg)
(울산=연합뉴스) 허광무 기자 = 울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은 토양오염 우려 지역 65곳을 대상으로 6∼9월 토양오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 지점에서 오염 수준이 '기준치 이내'로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조사지점은 산업단지와 공장 15곳, 원광석·고철 보관·사용지역 7곳, 폐기물 처리와 재활용 관련 지역 8곳, 교통 관련 시설 지역 10곳, 산업단지 주변 등 주거지역 4곳, 어린이 놀이시설 10곳, 금속제련소 3곳 등이다.
조사 결과 중금속 전 항목을 비롯해 시안, 벤젠, 톨루엔, 총석유계탄화수소(TPH) 등에서 토양오염 우려 기준을 초과하는 항목이 없었다.
중금속과 무기물질 항목 평균농도는 카드뮴(Cd) 2.35㎎/㎏, 구리(Cu) 43.8㎎/㎏, 비소(AS) 3.02㎎/㎏, 수은(Hg) 0.14㎎/㎏, 납(Pb) 47.3㎎/㎏, 아연(Zn) 202㎎/㎏, 불소(F) 351㎎/㎏ 등이었다.
유기물질인 유기인·폴리염화비페닐(PCBs)·페놀·트리클로로에틸렌(TCE)·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과 유류 오염원인 벤젠·톨루엔·에틸벤젠·크실렌은 조사지역 전체에서 검출되지 않았지만, 총석유계탄화수소는 미량(21㎎/㎏) 검출됐다.
철도 관련 시설과 폐침목 사용지역에만 적용되는 벤조피렌 평균농도는 0.003㎎/㎏이었으며, 수소이온농도(pH) 평균은 6.6으로 측정됐다.
보건환경연구원은 매년 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오염 우려 기준을 초과한 지역은 토양 소유자에게 정밀조사를 받도록 하고, 오염이 확인되면 정화·복원 작업을 하도록 한다.
hk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