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수용 문제로 공사 절차 '난항'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0/17/AKR20181017096000077_01_i.jpg)
(뉴델리=연합뉴스) 김영현 특파원 = 인도 정부가 야심 차게 추진하는 첫 고속철 사업이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착공식을 한 이 사업은 아직도 제대로 첫 삽을 뜨지 못하고 있다.
공사를 위해서는 1천400헥타르(ha)에 달하는 땅이 필요한데 아직 0.9헥타르밖에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인도 정부는 서부 구자라트 주(州) 아메다바드에서 그 남쪽 마하라슈트라 주 뭄바이까지 508㎞를 최고 시속 320㎞의 고속철로 연결할 계획이다.
총 150억달러(약 16조9천억원)가 투입되며 나렌드라 모디 정부의 교통 인프라 개선 프로젝트 가운데 최대 규모다.
일본 신칸센 방식을 채택한 이 고속철은 2022∼2023년 개통할 예정이다.
하지만 토지수용 절차가 늦어지면 개통도 더 미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토지수용 절차가 난항을 겪는 것은 토지 보유자인 농부들이 보상 규모에 불만을 느끼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일부 농민들은 구자라트 주 고등법원 청원 등을 통해 정부가 농지 강제수용권을 가졌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이의를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인도 농민들은 이전에도 타타자동차의 웨스트벵골 주 공장건립 계획 등에 대해 비슷한 이유로 반대해 백지화시킨 바 있다.
이 같은 농민들의 움직임은 내년 총선을 앞둔 모디 정부에도 부담이 될 전망이다.
정치평론가인 닐란잔 무코파드야이는 블룸버그 통신에 "농민들이 시위라도 벌이기 시작하면 이 프로젝트를 깔끔하게 추진하려는 모디총리의 이미지에도 타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에서 철도는 하루 2천300만명 이상이 이용하는 주요 교통수단이다.
하지만 열차 대부분의 평균 최고시속이 110㎞에 불과하고 그나마도 열악한 철도 상황 등으로 실제 운행속도는 평균 시속 70㎞가 채 되지 않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모디 정부는 2015년부터 5년간 8조5천억 루피(약 130조원)를 투입하는 철도 현대화·고속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coo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