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알렘 외무, 유엔 시리아 특사 만나 "외세 개입 배제" 강조
(제네바=연합뉴스) 이광철 특파원 = 시리아 정부가 개헌 문제를 다룰 위원회 구성을 거부하면서 유엔이 주도하는 제네바 평화협상 프로세스에 대한 불신을 거듭 드러냈다.
로이터 통신은 24일(현지시간) 왈리드 무알렘 시리아 부총리 겸 외무장관이 스테판 데 미스투라 유엔 시리아 특사와 만난 자리에서 "헌법은 시리아 국민이 정해야 할 주권상의 문제"라고 말했다고 국영 매체를 인용해 전했다.
내달 사퇴 의사를 밝힌 데 미스투라 특사는 사퇴 전 시리아 개헌위원회 구성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다마스쿠스를 방문 중이다.
유엔은 시리아 정부와 반군이 모두 참여하는 개헌위원회 구성을 디딤돌 삼아 총선 등 정치 개편까지 의제를 확대해 시리아 평화회담을 이어가려 했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제네바에서는 그동안 9차례 평화회담이 진행됐지만, 시리아 정부와 반군 사이에 직접 대화는 한 번도 없었다.
무알렘 장관은 "헌법과 헌법에 관련된 모든 것은 시리아 국민이 정해야 할 사안이다. 자신들의 의사를 반영하려는 외세의 개입은 배제돼야 한다"라며 유엔이 주도하는 개헌위원회 구성 논의를 사실상 거부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0/24/AKR20181024169800088_01_i.jpg)
시리아 정부는 이들립을 제외한 반군 지역을 대부분 수복하는 등 승세를 굳힌 뒤에는 유엔이 주도하는 평화회담을 거부하고 있다.
시리아 정부군을 지원해 온 러시아는 제네바 평화회담과 별도로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평화협상을 진행해왔다. 러시아는 개헌, 총선 등 정치적 절차보다는 전후 시리아 복구 문제에 주력하고 있다.
시리아 국영 SANA 통신은 두 사람이 정치적 절차에서 진전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는 방안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고 전했다.
minor@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