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독 전문가 100여명 참석해 정치·경제·사회·문화 현안 논의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10/25/PYH2018102505680006300_P2.jpg)
(대전=연합뉴스) 한종구 기자 = 한국과 독일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양국의 정치·경제·사회·문화 현안을 논의하고 발전방안을 고민하는 행사가 25일 대전에서 열렸다.
한국국제교류재단과 한독협회는 이날 대전 ICC호텔에서 정범구 주독 한국대사와 슈테판 아우어 주한 독일대사 등 전문가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7차 한독포럼'을 개최했다.
한독포럼은 한국과 독일 정치·경제·사회·문화 분야 저명인사들이 참여하는 민간 친선기구로, 2002년 제1차 포럼이 서울에서 개최된 뒤 매년 양국을 오가며 열린다.
이번 포럼에는 이시형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영진 한독협회장, 김황식 전 국무총리, 김희상 외교부 양자경제외교국 국장, 김현철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에너지 정책단장, 김선욱 이화여대 전 총장 등이 참석했다.
독일 측에서는 하르트무트 코쉭 전 독일 연방 하원의원, 피트 헬트만 주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연방 총리, 라이너 에펠만 전 동독 국방부 장관, 카타리나 란드그라프 독일 연방의회 의원, 하이케 베렌스 독일 연방의회 의원, 피트 헬트만 주북 독일 대사 등이 참석했다
이날 포럼 기조 세션에서 테오 좀머 디 차이트 대기자는 "독일의 경제는 활력을 찾고 팽창 중"이라며 "독일 연방공화국의 경기는 아주 광범위하게 활성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지난해 국민총생산 2.2% 성장, 실업률 5%, 물가 상승률 1.8%, 지난해 수출 1조2천억 유로 등을 증거로 제시했다.
그는 다만 "다양한 요인이 모여 현재의 정치적 위기를 만들었다"며 "대중정당은 흡입력을 잃고 있으며 중도는 약해지고, 좌우가 강해지면서 전반적인 스펙트럼이 우측으로 쏠리고 있다"고 평가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10/25/PYH2018102505780006300_P2.jpg)
김황식 전 총리는 한국의 정치·경제·사회적 현안에 대해 설명했다.
김 전 총리는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했지만, 여당이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지 못해 제3, 제4 정당이 캐스팅보트를 쥔 상황"이라며 "전직 대통령 두 명이 부패 등 혐의로 구속돼 재판을 받는 수치스럽고 안타까운 상황에 놓여 있다"고 말했다.
그는 외교·안보 상황에 대해 "세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과 한 차례의 북미 정상회담에 이어 올해 안으로 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될 예정"이라며 "미국은 선 비핵화를 위한 이행조치로 핵시설 등의 리스트 제출과 전면적 사찰을 요구하고 있지만, 북한은 비핵화 원칙을 천명하면서도 단계별 종전선언 등 미국의 상응한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며 설명했다.
김 전 총리는 "북핵 문제 해결 및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등이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까 우려되는 상황에서 독일을 중심으로 한 EU의 관심과 협조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참석자들은 양국의 정치·경제·사회적 현안뿐 아니라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화, 국제 안보 질서 변화 속 양국 역할 등도 논의했다.
분과 세션에서도 4차 산업혁명 시대 직업교육의 양국 협력, 인구변화에 따른 여성의 경제활동,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중소-중견 기업의 역할, 에너지 정책 분야에서 양국의 기회와 도전 등을 주제로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포럼에서 논의한 결과는 정책 수립과 집행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정부와 유관기관에 전달할 방침이다.
슈테판 아우어 주한 독일대사는 축사에서 "한국과 독일은 동반자이자 공동의 가치와 지향을 갖고 있다"며 "포럼 결과는 양국 정부에 전달돼 두 나라의 정책 수립 시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10/25/PYH2018102505740006300_P2.jpg)
jk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