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단장 "책임자 국제법정 세워야"…중·러, 미얀마 정부 두둔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0/25/AKR20181025089800076_01_i.jpg)
(방콕=연합뉴스) 김상훈 특파원 = 로힝야족 학살 문제를 조사하고 학살 책임자인 미얀마군 최고사령관 등을 국제법정에 세워야 한다는 결론을 내린 유엔 진상조사단이 안전보장이사회에 관련 내용을 보고했다.
로힝야족 문제로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아온 미얀마 정부와 군을 두둔해온 중국은 이번에도 조사단 브리핑을 막기 위해 안간힘을 썼다.
25일 현지 언론과 외신에 따르면 로힝야족 학살 문제를 조사한 유엔 진상조사단의 마르주키 다루스만 단장은 전날 유엔 안보리 회의에서 로힝야족이 처한 상황을 설명하고 안보리가 앞장서 학살 책임자를 국제법정에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다루스만 단장은 "우리는 합리적으로 제노사이드(집단학살) 의도를 추론할 수 있다. 오늘도 잔혹 행위는 계속되고 학살은 현재 진행형"이라고 개탄했다.
그는 이어 "주권이라는 것은 반인도 범죄나 집단학살을 저지를 수 있는 면허가 아니다. 로힝야족, 미얀마 국민 그리고 전 세계는 안보리가 어떤 행동을 취하는지 지켜보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카렌 피어스 주유엔 영국대사도 "미얀마에서 자행된 것으로 보고된 범죄들은 20년 전 르완다, 스레브레니차(보스니아 내전 당시 유엔이 안전지대로 선포한 난민 주거지)에서 벌어졌던 사건의 반복"이라고 강조했다.
피어스 대사는 이어 "안보리는 과거 두 사건의 책임자를 단죄하기 위해 행동에 나선 적이 있다. 모두에게 수치심을 안기는 행동을 막는 것은 늦었지만 적어도 책임을 묻는 행위는 했다"며 마루스만 단장의 말을 거들었다.
반면 하우 도 수안 주유엔 미얀마대사는 "충분한 증거가 있다면 인권 유린의 책임자로 거론되는 인사들을 처벌할 의사도 있고 능력도 있다"고 안보리 차원의 행동을 반대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0/25/AKR20181025089800076_02_i.jpg)
안보리는 반인도범죄와 집단학살 등의 책임자를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제소할 권한이 있다. 영국과 프랑스, 미국 등 9개국은 그런 안보리의 ICC 제소권 발동을 위해 이번 보고회를 제안했다.
그러나 그동안 미얀마의 입장을 두둔해온 중국과 러시아 등은 브리핑 개최를 반대하며 찬반 투표를 제안했다.
마자오쉬(馬朝旭) 주유엔 중국대사는 특정 국가의 인권 이슈에 안보리가 개입해서는 안 되며 브리핑 자체가 문제 해결에 도움이 안 된다는 입장을 폈다.
결국, 중국의 제안으로 진행된 투표에서는 9표의 찬성표가 나와 브리핑이 진행됐다.
우여곡절 끝에 미얀마군의 로힝야족 학살 내용이 안보리에 보고됐지만, 중국은 앞으로도 로힝야 학살에 관한 안보리 결의나 ICC 제소 등을 강경하게 막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얀마에서는 지난해 8월 로힝야족 반군인 아라칸 로힝야 구원군(ARSA)이 항전을 선포하고 경찰초소 등을 급습했다. 미얀마군은 ARSA를 테러단체로 규정하고 대규모 병력을 동원해 토벌에 나섰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0/25/AKR20181025089800076_03_i.jpg)
이 과정에서 수천 명이 목숨을 잃고 70만 명이 넘는 로힝야족 난민이 국경을 넘어 방글라데시로 도피했다.
난민들과 국제사회는 이 과정에서 미얀마군이 대량 학살과 반인도범죄를 저질렀다고 주장하며 책임자인 군 최고사령관 등을 국제법정에 세우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진상조사단이 대량 학살 책임자로 지목한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최고사령관 등은 이런 주장에 근거가 없다면서 유엔이 내정에 간섭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meola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