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표 작가…박경리문학상 수상으로 내한
"한강 '채식주의자'·'소년이 온다' 뛰어난 작품"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10/25/PYH201810250910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임미나 기자 = "내가 생각하는 문학의 정의는 인간이 새로운 삶을 이끌어 나가게 해주는 효율적인 도구라는 것입니다. 그런 걸 해내는 작품들은 모두 훌륭하다고 할 수 있어요. 어느 것이 더 낫다고 우열을 가릴 수 없습니다."
미국 당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하나인 리처드 포드(74)는 25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박경리문학상 수상작가 기자간담회'에서 '가장 좋아하는 책이나 작가를 꼽아달라'는 질문에 답하며 문학을 이렇게 정의했다. 그러면서 "박경리와 한강의 작품도 그런 훌륭한 작품"이라고 꼽았다.
자신의 작품에 관해서는 "절망 속에서 희망을 보여주려 하는 낙관주의적인 작품"으로 표현했다.
그는 박경리(1926∼2008) 작가의 문학정신을 기리는 국제 문학상 '박경리문학상' 올해(제8회) 수상자로 선정돼 한국을 찾았다.
미국 미시시피주 잭슨에서 태어난 그는 캘리포니아대학에서 문학 석사학위를 받고 경찰·잡지편집자·대학강사·스포츠잡지 기자 등 다양한 일을 하다 1976년 '내 마음의 한 조각'으로 데뷔했다. 1986년 발표한 '스포츠라이터'로 작가 입지를 굳혔고, 후속작 '독립기념일'로 1996년 미국 문학사상 최초로 퓰리처상과 펜·포크너상을 동시에 받았다. 또 2012년 장편소설 '캐나다'로 프랑스 페미나 외국문학상, 미국도서관협회의 카네기 앤드루 문학상을 받기도 했다.
그는 필립 로스, 존 업다이크, 레이먼드 카버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미국을 대표하는 작가로 꼽힌다.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적 삶을 통해 동시대 미국 사회를 날카롭고 냉정한 시선으로 치밀하게 그려냄으로써 '가장 미국적인 소설을 쓰는 작가'라는 평을 받는다.
박경리문학상 심사위원장인 김우창 교수는 그를 "보통 사람의 보통의 삶- 고통과 비극을 멀리할 수 없는 보통의 삶, 그 속에서 성실한 삶의 가능성을 찾아내는 작가"로 평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10/25/PYH2018102509160001300_P2.jpg)
그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자신을 "평범한(ordinary) 사람"이라고 여러 차례 지칭하며 "내가 이런 훌륭한 상을 받는 것은 아주 평범한 사람이 어떤 삶의 여정을 통해 뛰어난(extraordinary) 예술가가 될 수 있다는 좋은 표본을 보여준다. 타고난 재능이 아니더라도 누구에게나 가능성이 열려 있다. 뛰어난 작가가 되는 것이 부유한 배경이나 뛰어난 지능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가장 미국적인 소설을 쓰는 작가'란 평에 관해서는 "전형적인(typical)이라는 표현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행보에도 미국은 상당히 다양성이 있는 국가다. 내가 교편을 잡은 컬럼비아대학에는 한국인, 중국인, 남미계 등 출신이 다양한 학생이 있다. 내 소설은 미국을 배경으로 하지만, 전 세계 모든 독자가 공감할 수 있는 문학을 하는 게 내 목표다. 우리가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살지만 결국 사랑과 공포, 기억, 후회 등을 지닌 인간, 공통성을 가진 인류라는 점을 강조하려 한다"고 했다.
그는 이날 아내(크리스티나 포드)와 함께 기자간담회에 참석했다. 10대 때 만나 50년간 부부로 살았다고 한다.
"한국에 오게 돼 우리 부부 둘 다 너무나 들뜨고 기쁩니다. 무엇보다 박경리문학상을 받아 이런 기회를 갖게 돼 감사합니다. 이 상은 나를 더 겸손하게 만듭니다."
그는 이런 인사말과 함께 박경리의 '토지' 영어판을 손에 들어 보이며 "아직 일부밖에 못 읽었지만, 너무나 훌륭한 작품이다. 실제 경험한 역사 속의 삶을 통해 알 수 없는 인간의 삶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삶에 대한 확증이자 진실이 녹아있다. 이것이 바로 '토지' 같은 위대한 문학의 특징"이라며 박경리 작가에게 경의를 표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10/25/PYH2018102509120001300_P2.jpg)
그는 이번 방한 기간에 '채식주의자'로 세계에 알려진 작가 한강과 만나는 일정을 잡기도 했다.
"한 이탈리아 친구가 추천해서 한강의 '채식주의자'와 '소년이 온다'를 읽었습니다. 두 작품이 아주 달랐죠. '소년이 온다'에서는 견디기 어려운 슬픔을 느꼈습니다. 평범한 일상에서 겪기 어려운 대학살 과정을 책 속에서 보는 일종의 특권을 얻은 느낌이었습니다. 그렇게 견딜 수 없을 정도의 내용을 읽는 것이 우리가 삶을 견디는 동력이 되기도 하죠. '채식주의자'는 문화적 관점에서 가치 있는 책이었습니다. 한 여성이 채식주의자로 변하면서 모든 관계를 뒤엎는 상황이 마치 카프카의 '벌레'와 비슷한 맥락으로 이해되면서 사회와 가족관계에 관한 풍자를 보여준다고 생각했어요. 이 소설은 세계 모든 독자가 공감할 수 있는 인류적 차원의 작품이 되고 있습니다."
국내에 번역된 그의 작품은 '스포츠라이터'와 '캐나다' 등으로, 그의 세계적인 명성에 비교해서는 널리 알려지지 못한 편이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독립기념일'은 1997년 '잃어버린 날들'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된 이후 절판됐다가 이번에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시리즈로 새롭게 번역, 출간됐다.
그는 "나를 더 잘 만날 수 있는 곳은 바로 책"이라며 한국 독자들에게 인사를 대신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0/25/AKR20181025090151005_01_i.jpg)
min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