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북미정상회담 등 조율…비핵화 관련 빅딜 논의 탄력 전망
폼페이오의 北측 카운터파트 김영철 가능성 무게
(워싱턴=연합뉴스) 송수경 특파원 =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북한의 카운터파트가 만나는 북미고위급 회담이 11월 둘째주 11·6 미국 중간선거 직후에 열리는 쪽으로 물밑조율이 이뤄진 것으로 29일 알려졌다.
이번 회담은 폼페이오 장관이 지난 19일 '열흘쯤 뒤' '여기'에서 열리기를 매우 기대한다고 거론한 고위급 협상 채널로, 한동안 답보상태인 듯했던 북미 간 빅딜 논의와 내년 초로 예상되는 2차 북미정상회담 준비가 다시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북미 상황에 밝은 한국의 한 외교소식통은 북미고위급 회담과 관련해 "폼페이오 장관이 언급했던 시점에는 10월 말쯤으로 추진되다가 미국 측 사정 등으로 며칠 늦춰진 것으로 안다"며 "장소는 미국 동부가 되지 않을까 싶다"고 밝혔다.
앞서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19일 한 인터뷰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의 날짜와 장소를 잡는 작업을 하고 있다며, 관련 논의를 이어가기 위해 "약 열흘 내에" 자신과 북한 측 카운터파트의 고위급 회담이 '여기'에서 열리기를 매우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북미가 최근 잠정 합의한 날짜는 11·6 중간선거 직후인 11월 둘째 주 후반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북미 간 협상의 특성상 날짜가 막판에 추가로 조정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어 보인다.
북한 측은 아직 미국에 구체적 명단을 전달하지 않았으나 폼페이오 장관의 협상 파트너는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소식통은 "아직 확실하진 않지만 김 부위원장이 고위급 회담에 나올 가능성이 큰 것으로 미국 측은 보고 있다고 들었다"라고 설명했다.
김 부위원장은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이 열리기 전인 지난 5월 말∼6월 초 방미, 뉴욕에서 폼페이오 장관과 고위급 회담을 한 뒤 워싱턴DC로 이동,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한 바 있다.
북미고위급 회담이 성사될 경우 북측 고위 인사가 5개월여 만에 다시 미국 땅을 밟게 되는 셈이다. 회담 장소로는 뉴욕이나 워싱턴DC 등이 거론된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1차 세계대전 종전 100주년 기념행사 참석을 위한 프랑스 방문(11일) 일정이 예정돼 있어 이번 북측 고위 인사가 방미한 동안 트럼프 대통령과 만남이 이뤄지기는 어려워 보인다는 관측이 나온다.
외교소식통은 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의 방미 가능성에 대해서는 "너무 앞서나간 이야기"라고 선을 그었다.
이번 북미고위급 회담에서는 내년 초로 예상되는 2차 북미정상회담의 날짜와 장소 등 정상회담 준비와 함께 북한의 비핵화 초기 실행조치 및 미국의 상응 조치 문제 등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비핵화 실행조치와 관련, 폼페이오 장관의 지난 7일 4차 방북 당시 합의사항인 풍계리 핵실험장 사찰 문제를 비롯해 동창리 엔진 시험장 및 미사일 발사대, 영변 핵시설 관련 문제도 논의될 것으로 관측된다.
앞서 김 위원장은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 당시 풍계리 핵실험장이 불가역적으로 해체됐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사찰단의 방문을 요청했다고 당시 미 국무부가 발표한 바 있다.
이와 함께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3차 남북정상회담 당시 합의한 9월 평양 공동선언에는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 하에 동창리 엔진 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의 영구 폐기 ▲미국의 상응조치시 영변 핵시설의 영구적 폐기 등 추가적 조치가 담겼다.
외교소식통은 "풍계리 핵실험장 사찰 문제와 동창리 엔진 시험장, 영변 핵시설 관련해서도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북미는 고위급 회담 후에 실무회담 채널을 가동, 2차 북미정상회담 실행계획 등에 대한 후속 조율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북미고위급 회담→실무협상'의 순으로 조율이 이뤄진 뒤 내년 초 2차 정상회담에서 이를 토대로 북미 정상이 담판에 나서는 프로세스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앞서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 후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 간의 실무협상 채널이 조기에 가동될 것으로 기대됐으나, 아직 만남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미국은 오스트리아 빈을 실무협상 장소로 제안한 바 있다.
hankso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