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청서 31일 '행복도시 광역권 상생발전 정책협의회'
충남도 "KTX 공주역 활성화·내포신도시 도청 이전 등 반영"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0/30/AKR20181030129800063_01_i.jpg)
(홍성=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세종시와 인접 대전, 충북, 충남을 잇는 도로망을 확충하는 내용 등을 담은 광역도시계획이 11년 만에 다시 수립된다.
30일 충남도에 따르면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과 대전시, 세종시, 충북도가 공동으로 31일 행복청 회의실에서 '행복도시 광역권 상생발전 정책협의회'를 연다.
4개 광역권의 상생발전을 위해 도시 간 기능을 분담하고 세종시와 인근 자치단체를 잇는 도로망을 확충하는 내용의 광역도시계획 수립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광역도시계획은 여러 시·군을 하나의 계획권으로 관리해 상생발전을 유도하면서 중복투자를 방지하기 위해 세우는 것이다.
국토연구원과 대전세종연구원, 충남연구원, 충북연구원이 내년 1월부터 21억원을 들여 2년 동안 광역도시계획 수립 용역을 수행한다.
도는 이번 연구용역에서 KTX 공주역 활성화와 내포신도시 도청 이전 등 변화된 여건을 반영한 교통 인프라 구축을 제안할 계획이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cms/2018/01/10/22/C0A8CA3D00000160DEBCAED70000F2AA_P2.jpeg)
2007년 수립된 행정중심복합도시 광역도시계획안은 충남의 경우 공주·논산·계룡·부여·청양 등 일부 지역만 포함돼 있었지만, 이번 계획안에서는 도내 15개 시·군 전역으로 확대한다.
충북도 당시 청주, 청원, 진천, 증평만 포함돼 있었던 것을 시·군 전체로 확대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서울과 영호남을 연결하는 경부축 도로망은 많이 발전했지만, 서해를 잇는 동서축 도로망은 상대적으로 소외됐다"며 "내포신도시(충남도청 소재 신도시)에서 세종시까지 가려면 공주 정안나들목을 거쳐서 가야 하는 등 교통이 낙후돼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2014년 호남고속철도(KTX) 개통에 따른 공주역세권 개발, 보령 광역철도망 구축 등 우리 도 정책사업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적극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jyou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