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미세 피치용 이방성 전도 필름…"적용 분야 다양 기대"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0/31/AKR20181031048300063_01_i.jpg)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백경욱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고해상도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 극미세 피치용 이방성(異方性) 전도 필름을 만들었다고 31일 밝혔다.
피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과 전극 사이 거리를 뜻한다. 극미세 피치의 경우엔 일반적으로 25㎛(1㎛는 0.001㎜) 이하다.
이방성 전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s)은 열경화성 폴리머 물질에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입자를 분산해 놓은 형태다.
디스플레이 산업계에서 많이 쓴다.
통상적으로 이방성 전도 필름을 미세 피치 디스플레이 제품에 적용하면 특정 입자가 응집하고, 전극 간 전기적 단락 회로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연구팀은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나일론을 활용해 한계를 극복했다.
입자가 잘 분포되고 고정된 단일 층 나일론 필름을 제작했는데, 입자 움직임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0/31/AKR20181031048300063_02_i.jpg)
접합 공정 후 입자 포획률도 크게 끌어올렸다.
이방성 전도 필름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입자 함량을 기존보다 3분의 1 이상 줄이기까지 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백경욱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이방성 전도 필름은 극미세 피치를 가진 가상현실·4K·8K UHD 디스플레이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극미세 피치 접속 핵심 소재 국산화를 통해 세계 시장을 독점한 일본 제품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0/31/AKR20181031048300063_04_i.jpg)
연구팀은 국내 이방성 전도 필름 제작 회사(에이치엔에스하이텍)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지원을 받아 시제품을 만들었다.
윤달진 박사과정이 1 저자로 참여한 연구 논문은 국제 학술지 'IEEE TCPMT'(International Transactions on Components, Packaging, and Manufacturing Technology)에 실렸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