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7/11/02/01/C0A8CA3C0000015F7A34E67A0000A2F2_P2.jpeg)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올해 서울의 아파트 준공비중이 전체 주택 준공실적의 절반에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서비스 ㈜직방은 국토교통부의 주택건설 준공실적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 8월 현재 서울의 아파트 준공비중이 41.7%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2015년의 33.2%보다는 늘어난 수치지만, 여전히 절반을 밑도는 수준이다.
이에 비해 전국 아파트 준공비중은 2016년 50% 선을 돌파한 이후 지난 8월 현재 67.3%를 기록했다.
서울과 전국의 아파트 준공실적 차이가 벌어진 이유는 2014년 9·1대책에 따라 청약 1순위 요건이 완화되는 등 청약제도가 간소화하면서 지방은 아파트 공급 열풍이 분 반면, 서울은 뉴타운 출구전략과 재건축 규제가 맞물려 공급이 원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울 대규모 뉴타운 해제지는 건축규제가 풀리며 저렴한 이자를 이용한 주택 임대사업 목적의 다세대·연립·다가구 신축이 급증했다.
2016년에는 서울의 다세대 준공물량이 4만9천820호로 전년(3만9천292호)보다 26.7% 늘었다.
아파트 공급의 또 다른 한 축인 재건축 사업도 초과이익환수, 35층 층고 제한, 재건축허용 연한 규제, 안전진단 강화, 소형주택형 의무비율 적용, 이주 시기 조율, 조합원지위양도 금지, 입주권 주택 수 산정(분양시장) 등에 따라 답보 상태다.
직방 함영진 빅데이터랩장은 "서울의 비아파트 건설은 임대차 시장 안정과 노후 주택의 교체율 개선에 도움이 됐다"며 "다만 수요자의 아파트 선호 현상으로 인한 고질적인 서울 집값 불안 문제를 고려할 때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동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e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