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2012년 65건서 2013∼2017년 102건으로 157% ↑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1/14/AKR20181114041200063_02_i.jpg)
(대전=연합뉴스) 유의주 기자 = 한국이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LCD TV 시장에서 중국 업체의 추격이 거센 가운데 선명한 화면과 저소비전력을 위한 핵심부품 기술인 휘도(밝기) 향상 필름 기술 특허출원이 꾸준히 늘고 있다.
14일 특허청(청장 박원주)에 따르면 휘도 향상 필름 특허출원은 2008∼2012년 5년간 65건에서 2013∼2017년에는 102건으로 157% 증가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1/14/AKR20181114041200063_01_i.jpg)
휘도 향상 필름은 LCD TV에서 손실되는 빛을 재활용해 휘도를 높이고, 이로 인해 소비전력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현재 3M사의 이중휘도향상필름(DBEF)이 시장을 독점하는 가운데 효성, 웅진케미칼 등 국내 기업들이 대체기술 개발에 활발한 것이 출원 증가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출원인 유형을 보면 국내 기업(66%), 일본(20%), 미국(10%), 국내 대학, 연구소 등(4%) 순으로, 국내 기업 출원 비중이 높았다.
휘도 향상 필름을 작동 원리에 따라 구분해 보면 편광된 빛의 반사를 이용한 기술, 표면 구조에서 빛의 굴절을 통해 집광효과를 얻는 기술, 형광체를 사용해 빛의 파장을 변경하는 기술로 나눌 수 있다.
빛의 반사를 이용한 기술이 현재 주로 사용되며 빛의 굴절을 이용한 기술, 형광체를 사용하는 기술은 대체기술이다.
표면 구조에서 빛의 굴절을 이용한 기술은 출원이 감소했지만, 형광체를 사용하는 기술은 최근 2년간 출원이 급증했다.
형광체를 사용하는 기술은 기존의 이중휘도향상필름(DBEF)을 대체하기 위해 LCD에 포함되는 기재 필름 내에 빛의 파장을 변환시키는 형광체를 첨가해 휘도와 색 재현율을 향상하는 것이다.
김용훈 특허청 전자부품심사팀장은 "휘도 향상 필름 기술은 LCD 디스플레이에서 화면의 밝기를 좌우하며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기술 중 하나"라며 "우리 기업이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세계 1위를 유지하려면 휘도 향상 필름 기술에 대한 강한 특허확보 전략을 위해 더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ye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