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1/14/AKR20181114149200054_01_i.jpg)
(광주=연합뉴스) 장덕종 기자 = 광주시가 수백억원을 들여 만든 분류식 하수관이 예산 부족으로 일부만 건설돼 악취 발생 등 주민 불편이 계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류식 하수관은 빗물과 생활하수가 하나의 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던 합류식을 오수와 우수로 분리해 보내는 것이다.
광주시의회 송형일(서구 3) 의원은 14일 시 행정사무 감사에서 "하수관 분류식화 사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합류식 하수관을 사용하는 주택에서는 악취 발생 등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이미 정비가 완료된 분류식 하수관에 중앙오수 간선관로가 설치되지 않아 우천시 기존의 차집관로를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그대로 유입되면서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는 2007년부터 2조7천890억원을 들여 총연장 2천207㎞ 구간의 합류식 하수관을 분류식으로 정비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2013년까지 2천844억원을 투입해 302㎞ 구간만 정비를 완료했고 나머지 구간은 예산 부족으로 5년 넘게 중단된 상태다.
분류식으로 정비가 끝난 구간에서도 신안교∼하수처리장 6.9㎞ 구간에는 예산 부족으로 중앙오수 간선관로가 설치되지 못했다.
송 의원은 "광주시 하수도 정책이 무계획적이고 즉흥적으로 추진되면서 주민 불편은 물론 행정력과 예산 낭비로 이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광주시 관계자는 "국비와 시비, 민간자본까지 투입해 사업을 하고 있는데 가용 예산이 부족해 사업을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며 "현재 30% 수준인 국비 지원을 더 늘려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해명했다.
cbebop@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