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주민 98% 증설 반대", 시 "건강권 공세에 정면 대응"

(김해=연합뉴스) 정학구 기자 = 김해 장유소각장 증설을 추진하는 시와 이에 반대하며 이전을 요구하는 주민들 간 갈등이 결국 장외로 나가는 수순을 밟고 있다.
주민 비상대책위원회는 전체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서명 작업 결과를 공개하며 시를 압박했다.
시는 비대위가 16일로 정한 답변 시한 하루 전 자료를 내 "더는 답변할 것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며 비대위 측 건강권 공세엔 정면 대응하겠다는 의사를 드러냈다.
◇ 주민 비대위 "주민 98% 증설 반대"…촛불문화제 개최
장유소각장 증설 반대 및 이전촉구 주민공동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15일 보도자료를 내 "소각장 영향지역 전체 주민들을 대상으로 소각장 증설에 대한 의견을 파악한 결과 전체 2천600가구 중 2천61가구가 참여한 가운데 48가구가 증설에 찬성(2.33%)하고, 2천13가구가 증설에 반대(97.67%)하는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 조사는 비대위 측이 영향지역인 5개 아파트 단지와 자연마을 한 곳 등을 3차례 이상 방문해 이뤄졌고 549가구는 부재중이어서 파악할 수 없었다.
비대위 측은 소각장 증설 찬반 등을 물은 서명부 원본을 공무원이 원할 경우 열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비대위는 소각장 현대화사업(증설)을 전면 백지화하고 이전방안을 마련할 것과 창원 쓰레기 반입 근거가 될 '김해-창원 소각시설 광역화사업 기본협약체결 동의안'을 무효로 할 것을 요구했다.
비대위는 또 지난 2월 김해시장과 부곡주민지원협의체 위원장이 소각장 증설을 전제로 체결한 협약이 원천무효이므로 폐기할 것과 주민협의체 위원장 등을 해촉할 것, 일방적 행정추진과 시민 폭행·협박, 고소·고발에 시장이 사과하고 관련 공무원들을 징계할 것 등을 촉구했다.
비대위는 이어 주민협의체에도 '주민 민의를 반영하지 않고 협약을 체결한 부분에 도의적인 책임을 지고 임기만료일인 16일 이전에 주민대표 위원직을 사퇴하라'고 요구했다.
비대위는 이미 "16일까지 시장의 성의 있는 답변이 없으면 더는 대화를 구걸하지 않겠다"는 최후통첩성 입장을 시에 통보한 바 있다.
증설 입장을 굳힌 김해시장이 '답변'을 거부함에 따라 비대위는 오는 16일 장유 중앙광장에서 김해 시민 전체를 대상으로 소각장 증설 반대 및 이전촉구 촛불문화제를 열 예정이다.

◇ 김해시, 다이옥신 측정 공개 등 '건강권 논란' 불식 시도
김해시도 이날 보도자료를 내 "장유소각장으로 인한 건강권 침해 논란에 적극 대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는 소각장 다이옥신 측정검사 과정을 전 시민에게 공개하고 내년부터 영향권 주민들을 대상으로 주민건강영향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소각장 증설에 반대하는 소각장 인근 주민들의 암 발병 주장이 사실이라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고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지역 암 환자 현황자료를 요청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시는 소각장 하반기 정기보수를 마치고 오는 21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소각장에서 진행되는 하반기 다이옥신 측정검사 과정을 일반에 공개한다.
다이옥신 검사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리법'에 따라 소각장의 경우 1년에 2회 이상 상·하반기로 나눠 실시하게 돼 있다.
시는 이날 2007년 이후 지난해까지 소각시설 다이옥신 측정 현황자료도 공개했다.
또 시는 "비대위에서 근거 없이 '장유지역에 암 환자가 많다'고 유포하는데도 적극 대응하기로 했다"며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해당 기간 암 환자 발생 현황 자료가 오는 즉시 공개해 주민 불안감을 해소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모 대학병원 교수가 '장유지역에는 암 환자가 왜 그리 많으냐'고 말했다는 박원주 비대위 위원장의 주장에 대해서도 박 위원장과 해당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사실관계를 확인하기로 했다고 시는 덧붙였다.
비대위가 시장에게 소각장 증설 백지화 등에 대해 공식 답변을 요구한 데 대해 시 관계자는 "이미 수차례 답변한 사항으로서 특별히 답할 것이 없다"며 "비대위에서 무조건 반대 투쟁만 할 것이 아니라 부곡동 주민들의 건강권 확보를 위한 악취문제 해결에 적극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해시는 하루 200t 용량 소각로 1기를 2001년 6월부터 운영해왔지만 2008년 장유신도시 준공 등으로 시 인구가 35만 명에서 48만 명으로 증가했고,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 이후 발열량 증가 등으로 소각용량이 부족하게 됐다.
시는 한때 소각장과 쓰레기 매립장 등 환경시설 전체를 집단화해 이전하기로 하고 용역까지 진행했으나, 시일이 촉박하고, 예산 소요가 많다는 점 등을 들어 현 소각장 시설 안 소각로 2호기 건설과 현대화로 방향을 틀었다.
b94051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