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11/16/PYH2018111609130005400_P2.jpg)
(광주=연합뉴스) 천정인 기자 = "이곳의 조정이 협치의 모델로 긍정적인 본보기가 될 것입니다."
박은정 국민권익위원장은 16일 광주-강진 간 고속도로 건설공사에 대한 집단민원을 중재하기 위해 광주 서구 서창동을 찾았다.
국민권익위 실무자가 수차례 주민과 한국도로공사 사이를 오가며 중재안을 만들어놓은 상황이어서 박 위원장의 현장 방문은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박 위원장은 주민들의 요구가 수용된 '저소음 포장' 방식으로 공사를 할 경우 비용이 얼마나 더 필요한지 등을 물으며 관심을 나타냈다.
중재 회의를 위해 인근 주민센터로 자리를 옮긴 박 위원장은 미리 만들어놓은 중재안에 불만이 있는지를 물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11/16/PYH2018111609120005400_P2.jpg)
주민 대표로 나온 정병철씨는 "몇 가지 아쉬운 부분은 있지만 권익위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서 협의하고 조정안을 만들어줘 감사하다"며 "많은 주민이 조정안에 공감하고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도로공사 관계자 역시 "공사가 늦어져 늘 힘들었다"며 "앞으로도 정부와 협의를 통해 문제를 풀어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박 위원장은 "조정이 원만히 성립될 수 있도록 협력하고 한발씩 양보해 준 양측과 광주시에 감사드린다"며 "이곳의 조정이 긍정적인 협치의 모델이 되고 다른 지역에도 소개가 되는 좋은 선례가 됐으면 한다"고 평가했다.
앞서 서창동 인근 주민 2천700여명은 광주-강진 간 고속도로가 송학초등학교를 비롯해 주변 마을과 너무 가깝게 들어서 소음과 분진 등 피해가 우려된다며 국민권익위에 고충 민원을 제기했다.
권익위 조정에 따라 한국도로공사는 송학초 뒤편에 복개방음터널 설치 등 주민들의 요구 11개를 수용하고 통행료 무료화 등 3건은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유를 설명하고 조정안을 만들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11/16/PYH2018111609100005400_P2.jpg)
in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