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호 부산시의원 "돌·흙 중심 보행로 패러다임 전환해야"
(부산=연합뉴스) 이종민 기자 = 해안 산책로와 등산로에 무분별하게 설치된 목재데크가 수명을 다하면서 애물단지가 되고 있다.
설치된 지 몇 년 지나지 않아 뒤틀리거나 쏟아오르는 등 부서지는 곳이 많아 유지 보수에도 적지 않은 비용이 들어가고 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4/02/20/PYH2014022007180006200_P2.jpg)
17일 부산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이동호 의원이 부산시 행정사무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공원·유원지, 산림 산책로에 설치된 부산지역 목재데크 규모는 20.9㎞에 이른다.
공원·유원지가 5.4km, 산림내 산책로가 15.5km다.
부산을 대표하는 산책로인 갈맷길의 경우 전체 9개 코스 가운데 4개 코스 7개 구간 19곳에 7.8km의 목재데크가 설치됐다.
해운대·송정·일광·다대포·광안리 등 5개 해수욕장 주변에도 면적 기준 8.2㎢의 목재데크가 시공됐다.
문제는 상당수 구간에 접착제로 다진 저가의 합성목재가 사용돼 주변환경을 오염시킨다는 점이다. 합성목재는 부서지면 재활용이 불가능해 산업폐기물로 처리해야 한다.
부산지역 해수욕장 산책로에 사용된 목재데크 8.2㎢ 중 52%인 4.6㎢가 합성목재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cms/2018/03/19/01/C0A8CAE2000001623B8C65A9000072FF_P2.jpg)
합성목재는 수명 또한 짧아 몇 년 지나지 않아 곳곳에서 부서지거나 쏟아올라 보행을 방해한다.
부산시는 최근 3년 간 목재데크 조성에 17억1천300여만원을 사용했지만 같은 기간 하자와 유지보수에 투자 비용의 26%인 4억4천500여만원을 썼다.
비용이 싸고 설치가 편리하다는 이유 만으로 무분별하게 설치한 목재데크가 이제는 부메랑이 돼 돌아오고 있는 것이다.
이 의원은 지난 16일 부산시를 상대로 벌인 행정사무감사에서 "설치-하자보수-재시공 등을 반복하는 목재데크 중심의 산책로 조성을 이제는 줄여야 한다"며 "친환경적이고 항구적인 자재로 바꾸거나 가능하면 자연 그대로의 돌과 흙으로 보행로를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ljm703@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