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연합뉴스) 성연재 기자 = "따르릉 따르릉 비켜나세요…"
가을이 끝나갈 무렵 자전거가 내 마음 속에 들어왔다.
1980년대 유행하던 패션 브랜드의 광고 문구처럼 요즘처럼 쌀쌀해진 겨울 직전이 생각 외로 자전거 라이딩에 잘 어울린다.
가는 가을과 오는 겨울을 느끼며 부담 없이 달릴 수 있는 수도권 라이딩 장소 3곳을소개한다.
◇ 남한강 자전거길
자전거 라이딩 족에게 빼놓을 수 없는 코스가 남한강길이다.
경기 남양주시에서 충북 충주시까지 남한강 변을 따라 뻗은 길로 전체 길이가 132km에 이른다. 숙련된 라이더도 8시간 남짓 걸린다.
남한강 자전거길은 남양주시 조안면, 여주시 등을 거쳐 충청도로 내려간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1/22/AKR20181122099000800_03_i.jpg)
그 중에서도 중앙선 폐선 27km 구간이 아주 매력적이다.
출발지 가운데 특징적인 곳은 능내역을 꼽을 수 있다.
남한강 자전거길 8경 가운데 3경에 속한다.
능내역은 폐역으로, 넉넉하지는 않지만 인정 넘치는 옛 추억을 떠올리게 한다.
기와로 만들어진 작은 단층역은 마치 고향 집처럼 정겹다. 내부에는 주민들이 찍은 흑백사진이 걸려 있다.
능내역은 1956년 5월 역무원 없는 간이역으로 시작했다. 1993년에야 역무원이 배치됐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1/22/AKR20181122099000800_01_i.jpg)
그러나 2008년 중앙선이 연장되면서 선로가 이설된 이후 문을 닫은 상태다.
작은 역사로 들어서면 옛 열차 시간표가 문 위에 그대로 붙어 있다.
이곳에서 8경 기곡 터널까지는 두물머리 공원과 세미원, 여운형 선생 박물관 등 다양하게 보고 즐길 거리가 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1/22/AKR20181122099000800_05_i.jpg)
◇ 북한강 자전거길
1939년 개통돼 2010년 단선된 옛 경춘선이 2012년 12월 '북한강 자전거길'로 부활했다.
북한강 자전거길은 남양주시 조안면에서 시작돼 경기 가평을 거쳐 강원 춘천까지 올라간다. 70km 거리다.
보통 5시간 안팎이 걸린다고 하는데, 실력에 따라 조금 차이는 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1/22/AKR20181122099000800_02_i.jpg)
대성리역, 청평역, 가평역, 강촌역 등 경춘선 어느 역에서 내려도 곧바로 자전거길에 합류할 수 있다.
남한강 자전거길과 달리 강을 오른쪽에 끼고 달리게 돼 있다.
기점은 경의 중앙선 운길산역이지만 보통 물의 정원에서 출발하곤 한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1/22/AKR20181122099000800_06_i.jpg)
◇ 경인 아라뱃길 자전거길
김포 전호 대교에서 북인천 서쪽 끝인 정서진까지 37km의 자전거길로이다.
길게 뻗은 아라뱃길을 즐기며 라이딩할 수 있는 코스다.
오르막과 내리막이 거의 없다는 게 장점이다. 평균 2시간 28분 걸린다고 안내돼 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1/22/AKR20181122099000800_04_i.jpg)
다소 단조로울 수 있다는 게 단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아기자기한 맛이 있다.
인천 지하철 2호선과 공항철도가 만나는 검암지역에는 검암공원이 있는데, 대형 조각상을 비롯해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있다.
◇ 라이딩 참고 사항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는 bike.go.kr에 들어가면 숙박 장소와 식사할 곳 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기념 스탬프를 찍을 수 있는 종주인증제를 운영하고 있는데, 곳곳에 자리잡은 인증센터에서 스탬프를 찍을 수 있다.
특히 북한강 자전거길은 중간에 지치면 언제든 전철에 자전거를 싣고 귀가할 수 있다.
polpor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