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건설협회 세미나…日 경협 인프라전략회의 사례 제시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사상 초유의 불황 터널을 지나고 있는 해외건설과 조선해양 업종의 활력 회복을 위해 민관 통합대응시스템을 신속히 가동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대한건설협회와 공동 개최한 '해외건설·조선해양 재도약 정책세미나'에서 "일본의 '경협 인프라전략회의'와 같은 민관 합동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우리나라 해외건설 수주액은 2014년 660억달러를 기록한 이후 2015년 461억달러, 2016년 282억달러, 2017년 290억달러로 4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수주액은 300억달러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선업의 경우 조선해양플랜트산업협회 집계를 보면, 올해 1∼9월 선박류 수출 규모는 145억2천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9.2% 감소했다.
여기에 장기불황에 따른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올해 9월 기준 종사 인력이 10만1천명으로 2014년 말과 비교해 50.7% 줄어든 상태다.
전경련은 일본의 경협 인프라전략회의가 성과를 낸 것처럼 우리도 민관 통합대응시스템을 가동해 위기를 타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은 아베 정권 출범 직후인 2013년 총리 주재의 경협 인프라전략회의를 설치해 2020년까지 30조엔의 인프라 프로젝트를 수주한다는 목표를 정하고 공적금융, 민관합동펀드를 통해 범부처가 통합 지원했다.
그 결과 해외 인프라 수주실적이 2013년 15조엔에서 2016년 21조엔으로 계속해서 늘고 있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해외건설 및 조선해양 관련 인사들은 현재의 수주절벽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손태홍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글로벌 건설시장 규모가 계속 우상향으로 성장하는 것과 달리 한국의 해외건설 수주회복 가능성은 약화하는 점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진단했다.
손 연구위원은 "글로벌 인프라 투자 규모가 2040년까지 94조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경제외교, 금융지원 강화 등을 통해 해외 인프라 유망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국가 차원의 전략을 새롭게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성현 조선해양플랜트협회 정책기획팀장은 "최근 조선 시황이 반등했으나 강재 등 주요 원자재 상승 압박, 신조선가 회복 지연 등은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 환경규제에 따른 스마트 친환경 선박 제품 및 기술 선점을 위해 정부의 정책지원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br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