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연합뉴스) 최종호 기자 = 최근 수도권 주요 취수원인 팔당호에서 흙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이 증가해 시민들이 불편을 겪는 가운데 상류 댐인 소양강댐의 물을 흘려보내 문제의 물질을 줄이는 방안이 시행된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8/08/13/07/PCM20180813000107990_P2.jpg)
한강유역환경청은 한강홍수통제소와 함께 팔당호와 북한강 하류 구간에서 검출되는 맛·냄새 유발 물질인 2-MIB의 농도를 줄이고자 28일부터 12일간 소양강댐의 방류량을 기존 하루 690만㎥에서 1천730만㎥로 2.5배 늘리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이처럼 물의 양을 조절해 수질 개선에 나선 사례는 지난 8월 낙동강 녹조 개선을 위해 안동임하댐, 합천댐에서 3천655만㎥를 방류한 이후 두 번째다.
이번 소양강댐 방류량 증가 조치는 이달 초 팔당호에 비가 내린 뒤부터 2-MIB가 증가하기 시작해 지난 24일 팔당 취수장의 2-MIB 농도가 먹는 물 수질 감시기준인 0.02㎍/L를 훌쩍 넘는 0.152㎍/L까지 검출된 데 따른 것이다.
2-MIB는 독성이 없어 인체에는 무해하지만, 흙냄새와 곰팡냄새를 유발한다. 조류나 퇴적물 등에서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팔당호의 물을 취수하는 정수장 38곳 가운데 2-MIB가 초과 검출된 곳은 와부, 남동, 공촌, 수산, 파장, 복정3, 까치울, 안산, 연성, 비산, 포일, 청계통합, 노온, 광주, 용인, 하남 등 일반정수장 16개소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팔당상수원에서 물을 공급받는 인천과 경기 일부 지역에서는 수돗물에서 흙냄새가 난다는 민원이 지난 15∼26일 100건 넘게 접수됐다.
한강유역환경청은 그동안 지방자치단체, 한국수자원공사 등과 함께 분말활성탄 추가 투입을 비롯한 정수처리와 모니터링 강화 등의 조처를 했지만 2-MIB가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검출됨에 따라 소양강댐 방류량 증가를 결정했다.
한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최근에 2-MIB가 증가한 이유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며 "소양강댐의 방류량 증가로 수질이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zorb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