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홍지인 기자 = 카카오[035720]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형태소 분석기술 '카이'를 오픈소스로 공개한다고 30일 밝혔다.
형태소 분석기술은 2개 이상의 글자로 이루어진 단어 혹은 문장을 의미를 가진 언어 단위 중 가장 작은 단위인 형태소 단위로 분리하는 기술이다. 가령 '학교에 간다'는 '학교(명사)+에(조사)+가(동사)+ㄴ다(어미)'로 분해할 수 있다.
주로 자연어처리 응용 서비스의 기반 기술로 사용되며 정보 검색·기계 번역·스마트 스피커나 챗봇 등 여러 서비스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카카오는 소개했다.
카이는 국립국어원 자료를 바탕으로 85만 문장, 1천3만 어절을 학습해 정확도를 높였다. 오픈소스 커뮤니티 깃허브에서 이용할 수 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8/05/19/01/C0A8CAE200000163760285C20000006E_P2.jpg)
ljungber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