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 차별 중단 요구 및 한국 정부 관심 촉구
다음 달 1일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발족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1/30/AKR20181130118800051_01_i.jpg)
(부산=연합뉴스) 손형주 기자 = 일본 정부의 차별이 이어지고 있는 조선학교를 돕기 위해 부산 시민단체가 나섰다.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은 다음 달 1일 부산영화체험박물관 내 다목적홀에서 발족식을 갖고 일본 내 조선학교에 대한 차별문제를 세상에 알릴 계획이라고 30일 밝혔다.
시민모임은 부산민예총,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등 24개 부산 시민단체 참여로 출발한다.
조선학교는 독립 후 고국으로 귀향하지 못한 조선인들이 모여서 만든 곳으로 우리 말과 글 문화를 교육하며 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선총련) 지원을 받는 민족학교다.
일본 내 한국 정부가 예산을 지원하는 한국학교가 4곳뿐이어서 대한민국 국적 학생들 상당수가 조선학교에서 교육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다.
현재 조선학교 학생의 60% 정도가 한국 국적으로 파악된다고 시민모임은 설명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1/30/AKR20181130118800051_02_i.jpg)
조선학교는 조선총련 계열이란 이유로 2012년 아베 정권 출범 후 일본 정부 차별을 받고 있다.
일본 정부는 조선학교를 '고교 무상화' 대상에서 제외했다.
일본 지방정부가 지급하던 보조금도 갈수록 감소하거나 전부 삭감되는 추세다.
차별이 계속되자 한때 160여곳이었던 학교가 60여곳으로 줄어들었다.
시민모임은 향후 조선학교를 차별 실태를 세상에 알리고 조선학교와 국내 학교 학생들 교류와 상호 방문을 추진할 계획이다.
모금을 통해 운영비와 교육 기자재 후원, 시설 보수·재건축 지원, 재일조선인 역사기념관 건립 등도 계획하고 있다.
시민모임은 발족식에 앞서 부산 동구 초량동 일본총영사관 앞에서 조선학교 차별과 탄압 중지 촉구 기자회견도 개최한다.
이들은 일본 정부의 차별 중단을 요구하고 한국 정부의 관심을 촉구할 예정이다.
이용학 대표는 "마치 조선학교를 북측에서 만든 학교로 오해하는 분들이 많은데 정확하게는 재일동포가 만든 학교다"며 "실제 부산에서 배를 타고 일본으로 건너간 분들이 학교 설립에 참여했고 현재는 대부분 우리 국민들이 다니는 학교이기 때문에 부산 시민들이 연대의 손을 내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handbrother@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