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지하실험연구단 "자체제작 고감도 검출기로 'WIMP 신호 없음' 확인"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한국 연구진을 중심으로 한 국제공동연구진이 우주를 구성하는 미지의 암흑물질 후보 'WIMP'(약한 상호작용을 하는 무거운 입자)를 발견했다는 이탈리아 연구진의 주장을 둘러싼 20년간의 논쟁을 해결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내놔 주목받고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지하실험연구단이 이끄는 '코사인-100 공동연구협력단'은 6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서 1998년 이탈리아 그랑사소 입자물리연구소가 암흑물질을 찾기 위해 시행한 '다마'(DAMA) 실험에서 포착한 신호가 WIMP에 의한 것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2/05/AKR20181205129400017_01_i.jpg)
이 결과는 IBS 지하실험연구단이 2016년부터 강원도 양양 지하 700m 실험실에서 DAMA 팀의 실험을 검증하기 위해 그들이 사용한 것과 같은 물질과 실험방법으로 해온 '코사인-100 실험'의 초기 59.5일간(2016.10.20~12.29) 데이터를 분석해 얻은 결론이다.
이현수 IBS 지하실험연구단 부연구단장은 "암흑물질 발견은 우리가 아는 모든 물리 지식에 영향을 줄 놀라운 사건"이라며 "DAMA 실험을 완벽히 재현할 검출기를 자체 개발해 독립적인 실험을 시작했다는 것 자체에 학계가 주목했다"고 말했다.
우주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밝혀내는 것은 과학계 최대 과제 중 하나다. 우주 구성 요소 중 별과 행성, 사람과 사물 등 일반 물질은 전체의 4.9%에 불과하다. 나머지 95.1% 중 26.8%는 암흑물질, 68.3%는 암흑에너지로 구성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아직 그 존재가 규명되지 않았다.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에서 '암흑'(dark)은 말 그대로 무엇인지 모른다는 의미다. 과학자들은 암흑물질 후보 입자를 찾기 위해 노력 중이며 이론적으로 몇 개의 가상 입자가 암흑물질 후보로 제시됐다.
WIMP도 그중 하나다. 지금까지 WIMP의 흔적을 발견했다고 주장하는 연구팀은 이탈리아 그랑사소 입자물리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국제공동연구팀뿐이다. 이들은 1995년부터 지하실험실에서 200㎏의 요오드화나트륨(NaI) 결정을 이용해 WIMP 신호를 찾는 DAMA 실험을 시작해 1998년 계절에 따라 변하는 신호를 발견, 이를 낮은 질량의 WIMP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구가 공전궤도를 지날 때 서로 다른 암흑물질 지역을 통과하면서 신호가 달라진 것을 포착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니 지금까지 세계 어느 팀도 DAMA팀이 측정한 에너지 범위에서 WIMP 신호를 발견하지 못했다.
코사인-100 공동연구협력단은 DAMA 실험을 똑같이 재현하는 검증 실험을 하면서도 실제로 WIMP 신호가 있을 경우 이를 더욱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실험 물질과 장비 등의 품질과 성능을 향상했다.
이 실험은 기본적으로 초속 수백㎞로 우주공간에서 날아오는 암흑물질 입자가 고순도 요오드화나트륨 결정 내부의 요오드 원자핵이나 나트륨 원자핵과 충돌할 때 방출되는 광자를 포착해내는 것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2/05/AKR20181205129400017_02_i.jpg)
코사인 연구진은 암흑물질 입자 외의 다른 우주방사선이나 환경 방사능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하 700m 동굴에 실험장치를 하고, DAMA 실험에서 사용된 것과 비슷한 순도의 요오드화나트륨 결정 106㎏을 고체 차폐체와 액체 차폐체를 이용해 이중으로 감싸 DAMA팀보다 안정적인 검출환경을 만들었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코사인-100 검출기가 초기 59.5일간 확보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결론은 DAMA 실험에서 포착된 것이 실제 WIMP 신호라고 가정할 경우 이 기간에 1천200번의 신호가 포착돼야 하지만 검출기에서는 이런 신호가 검출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2/05/AKR20181205129400017_03_i.jpg)
이는 DAMA팀이 발견했다고 주장하는 신호가 암흑물질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닐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 20년간 계속돼온 WIMP 발견 논란을 최종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길을 연 것이라고 연구진을 밝혔다.
하창현 IBS 지하실험연구단 연구위원은 "이 결과는 유일하게 WIMP를 발견했다고 주장하는 DAMA 실험을 최종적으로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초기 데이터 분석만으로도 그 개연성을 충분히 보여줬다"며 "코사인 연구단이 2021년부터 강원도 정선 1천100m 지하실험실에서 계속할 실험을 통해 향후 5년 안에 DAMA 팀의 주장을 완벽히 검증 또는 반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2/05/AKR20181205129400017_04_i.jpg)
scitec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