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아동 이익·사생활 보장 위반" 철회 촉구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2/06/AKR20181206156400053_01_i.jpg)
(구미=연합뉴스) 박순기 기자 = 경북 구미시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들의 출석을 확인하기 위해 지문인식기를 도입하려 하자 시민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6일 구미시에 따르면 49개 지역아동센터 아동 1천500여명의 지문정보를 등록한 뒤 출석을 확인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시는 지문인식기 설치관리비 명목으로 내년도 예산에 5천300만원을 편성했다. 이 예산은 구미시의회 상임위원회를 통과해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넘어갔다.
국가인권위원회는 2011년 학교 출석확인을 위한 지문인식기 도입이 인권침해 요소가 있다고 지적하고 교육기관에 도입하지 않도록 권고한 바 있다.
구미YMCA, 참교육학부모회 구미지회, 구미참여연대 등 7개 시민단체와 정당은 성명을 내고 "아동 지문을 저장해 출결석을 확인하는 것은 심각한 인권침해를 가져올 중대 사안인데도 구미시가 이를 인식하지 못한 채 추진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아동과 보호자의 의견수렴 절차도 없이 추진했다"며 "아동 인권을 제대로 인식하고 지문인식기 도입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최현욱 구미YMCA 부장은 "아동 친화도시를 표방하는 구미시가 아동인권을 침해하는 것이 더 큰 문제"라며 "유엔아동권리협약에 규정한 아동 이익 최우선 원칙과 사생활권 보장 원칙에 위반될 소지가 크다"고 말했다.
전국 자치단체 가운데 지역아동센터에서 지문인식기를 이용하는 곳은 한 곳도 없다.
김천시가 유일하게 지난해 지문인식기를 도입했다가 반발을 커지자 설치만 해둔 채 사용하지 않고 있다.
김귀숙 구미시 드림스타트 계장은 "아동과 근무자 관리와 투명성 확보를 위해 지문인식기를 도입하려는 것"이라며 "인권침해 지적에 따라 여러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2/06/AKR20181206156400053_02_i.jpg)
지역아동센터는 19세 이하 초·중·고교생이 방과 후에 무료 급식과 교육서비스를 받는 곳으로, 주로 사교육을 받지 못하는 저소득층 아동들이 이용하고 있다.
parks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