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자원 보존과 활용·발전, 주민 지원책 담아
(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제주도가 섬 전체와 주변 해안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확대 지정받기 위해서는 자연자원 보존과 활용·발전을 위한 통합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12/07/PYH2018120711980005600_P2.jpg)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7일 오후 한라수목원 자연생태체험학습관에서 제주연구원이 수행한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 관리계획 수립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도는 이에 앞서 지난 9월 제주도 육상 전체와 해안선으로부터 1.5㎞에 이르는 해양지역을 생물권보전지역으로 확대 지정해달라고 유네스코에 신청했다.
도가 유네스코에 신청한 생물권 보전지역 전체 면적은 핵심구역 3만9천951㏊, 완충구역 7만2천286㏊, 협력구역 27만4천957㏊를 합친 38만7천194㏊에 이른다. 이는 기존의 생물권 보전지역보다 4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도는 핵심구역에 한라산국립공원과 영천·효돈천, 문섬·범섬·섶섬 외에 습지보호구역, 생태계보전지구(1·2등급),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천연기념물, 천연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등 생물 다양성이 우수한 법정 보호 지역을 포함했다.
완충구역은 2009년 생태계 서식처 질 평가 결과 우수지역과 핵심구역에서 제외된 법정 보호 지역, 면적이 30만㎡ 미만인 핵심구역에서 제외된 지역, 핵심구역 경계로부터 100m 이내 지역으로 구성했다.
협력구역은 나머지 육상 전체 지역과 섬 경계 및 해양 핵심구역과 완충구역 경계 5.4㎞ 이내 지역 등 경제활동 지역 및 주거지역이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12/07/PYH2018120712010005600_P2.jpg)
도는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을 위해 생태계가 우수한 지역의 자연자산에 대한 정밀 조사를 해 관리시스템을 구축기로 했다.
또 제주 자생종 유전적 기원 연구, 특이 생물종 유전자 분석, 모니터링 및 감시단 정기 운영 등을 통해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오름, 습지, 용천수 등 내 훼손지 복구 사업을 시작하고 국내 최대의 마르(maar)형 분화구인 서귀포시 '하논 분화구'를 복원하는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도는 환경단체, 주민 모니터링단 등과 함께 외래 생물종을 모니터링하며, 위생성을 평가하고, 퇴치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도는 또 자연자원을 활용해 생태 학습장을 조성하고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한편 생태 탐방로를 조성 및 정비하고, 휴양자원을 발굴해 활용키로 했다.
도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새로운 생태관광 마을을 지정해 활성화하고, 생태관광 마을 간 협력 시스템도 구축기로 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12/07/PYH2018120711990005600_P2.jpg)
제주연구원은 부지사를 본부장으로 하는 가칭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 통합운영 총괄본부'를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제주에는 현재 국내 멸종위기 Ⅰ·Ⅱ종 88종 가운데 44종과 동물 176종 가운데 95종이 서식하고 있다. 한국 특산식물 90여 분류군 중 66 분류군이 분포한다.
유네스코 국제조정이사회는 내년 상반기에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 확대 신청건을 심의한다.
kh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