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연합뉴스) 이상학 기자 = 춘천시가 불법으로 버려지는 쓰레기를 근절하려고 청년단속반을 투입하고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도입한다.
쓰레기 불법 투기를 막고자 추진했던 다양한 사업이 실효성이 없다고 판단, 새로운 대책을 내놓았다.
춘천지역은 생활 쓰레기가 하루 130t가량 발생하고 있다.
이 중 30∼40%는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지 않은 불법 투기이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9/19/PYH2018091921050006200_P2.jpg)
이에 따라 춘천시는 청년으로 구성된 단속반을 운영하기로 했다.
행정안전부의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지원에 '청년 환경 지킴이' 사업이 최근 선정돼 인건비를 지원받게 됐다.
이 청년들은 쓰레기 불법 투기를 단속하고, 폐기물을 다량 배출하는 사업장을 찾아 상시 점검 활동을 벌인다.
내년 상반기 청년 8명을 채용해 현장에 투입할 예정이다.
또 생활 쓰레기 수거 대행업체 근로자를 시민 명예 단속원으로 위촉한다.
아울러 취약지역 불법 투기 감시 CCTV를 추가 설치한다.
특히 시각 인공지능(AI) 기술 '딥뷰'(Deep View) 도입을 추진한다.
딥뷰는 사람의 관절 움직임을 인식해 불법 투기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불법 투기로 인식하면 사진 촬영과 함께 되가져 가도록 안내방송을 하는 신기술이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7/19/PYH2018071914680006200_P2.jpg)
불법 쓰레기를 일정 기간 치우지 않는 '청소 중단'도 실시할 예정이다.
유동인구가 많은 대학가 또는 먹자골목 등 불법 투기가 심각한 지역이 청소 중단 대상이다.
불법 쓰레기가 쌓인 거리 모습을 시민에게 보여줘 시민의식을 환기하려는 '고육지책'(苦肉之策)이다.
춘천시 관계자는 9일 "매년 운영하던 재활용품 선별 집하장 지킴이도 내년에 140명을 운영하는 한편 캠페인, 토론회 등으로 불법 쓰레기를 줄이는 데 행정력을 집중하겠다"며 "내년을 '쓰레기 제로화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ha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