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주민 "평창에서 개최해야" vs 강원도 "강릉 개최 불가피"
(강릉=연합뉴스) 이해용 기자 =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1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강원 강릉에서 열리는 것으로 사실상 확정된 가운데 평창 주민이 반발해 귀추가 주목된다.
강원도는 2019년 2월 9일 오후 강릉시 올림픽파크 내 아이스 아레나에서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 등 초청 인사, 올림픽 자원봉사자, 관람객 등 1만 명이 참석하는 '어게인(Again) 평창' 행사를 열 예정이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2/12/AKR20181212138600062_01_i.jpg)
또 남북 단일팀 아이스하키, 북측 태권도 시범, 평화 음식 축제 등 남북 공동행사도 개최한다.
도는 평창올림픽 1년 기념행사를 평창올림픽 개막식의 축소판이나 다름없는 국제 규모로 치르기 위해서 평창 대신 강릉 아이스 아레나를 선택했다.
평창 용평돔은 좌석이 2천300석에 불과해 초청 인원을 다 수용할 수 없는 데다 링크에 좌석을 설치하더라도 6천석에 불과하다.
여기에다 차기 올림픽을 준비하는 중국과 일본의 홍보 부스가 추가로 필요하고, 행사에 참여하는 예술인들이 대기하는 공간을 고려하면 강릉 아이스 아레나 이외에는 더 나은 장소를 찾을 수 없다.
일각에서는 평창 스키점프대를 사용하면 되지 않느냐는 제안도 있지만 한파와 강풍, 눈에 취약한 야외에서 국내외 내빈이 참석하는 대규모 행사를 치르기에는 위험 부담이 크다.
올림픽 개폐회식장은 올림픽조직위원회가 이미 철거해 허허벌판이나 다름없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2/12/AKR20181212138600062_02_i.jpg)
하지만 평창군이장연합회는 오는 13일 강원도청 앞 광장에서 3천여 명이 참가하는 항의집회를 개최하기로 하는 등 반발하고 나서 진통이 우려된다.
연합회는 평창올림픽 공식 명칭이 '평창동계올림픽'인 만큼 개최 1년을 기념하는 행사도 평창에서 개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평창지역의 반발 움직임은 확산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평창에서 기념행사를 개최하면 제일 좋지만 1만 명을 수용할 마땅한 장소가 없어 어쩔 수 없이 강릉으로 가게 됐다"며 "반발하는 사람들도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일축했다.
강릉시는 올림픽 개최 1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리면 교통과 주차 분야를 적극적으로 지원해 올림픽 유산을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평창올림픽 개최 이후로 각종 지원이 평창에만 집중되는 점에 대해서는 섭섭함을 감추지 않았다.
시 관계자는 "아이스 아레나에서 올림픽 개최 1주년 행사가 이뤄지면 빈 곳이나 다름없는 시설을 체육문화시설로 활용할 수 있어 나쁘지 않다"며 "강릉은 평창과 함께 올림픽을 개최한 도시이지만 각종 지원은 평창에만 집중돼 섭섭하다"고 토로했다.
dmz@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