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12/12/PYH2018121215870006200_P2.jpg)
(정선=연합뉴스) 배연호 기자 = 정선 알파인스키장 복원을 둘러싼 산림청과 강원도, 정선군, 지역 주민 간 갈등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정선군과 지역 주민은 '전면복원 결사반대'를 외치며 '곤돌라·관리도로 존치' 이외는 정부의 어떤 조정안도 수용하지 않겠다는 강경 입장을 견지 중이다.
김재현 산림청장이 지난 12일 정선군청을 찾아 지역 주민과 간담회를 했지만, 입장차만 확인했다.
지역 주민은 '연내 정부 입장 전달'이라는 이날 김 청장의 조정안에 대해서도 큰 기대를 하지 않는 분위기다.
주민단체인 정선 알파인경기장 원상복원반대투쟁위원회는 산림청의 국유림 사용허가 기간 만료에 따른 행정절차를 물리적으로 막겠다는 강경 입장이다.
이태희 투쟁위 공동위원장은 "지난 12일 간담회는 전면복원이라는 정부 입장을 전달한 자리에 불과했다"며 "산림청이 시설물 철거 등 행정절차에 돌입한다면, 주민 선택은 투쟁뿐"이라고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12/11/PYH2018121109330006200_P2.jpg)
알파인경기장의 국유림 사용허가 기간은 오는 31일까지다.
현재 투쟁위는 차단막과 감시초소로 알파인경기장 출입을 봉쇄한 상태다.
반면 산림청은 최승준 정선군수가 강원도청에서 대정부 투쟁에 나서겠다는 기자회견을 한 지난 11일에도 전면복원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이날 산림청은 "가리왕산은 특별법인 평창동계올림픽법에 따라 예외적으로 활강경기장을 조성한 것"이라며 "시설지 활용의 전제로 대회 이후 원래 산림으로 복원하겠다는 약속이 있었다"고 말했다.
즉 가리왕산에 알파인경기장 시설 조성은 대회 이후 원래 산림으로 복원한다는 사회적 약속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만큼 관련 법에 따라 산림 복원이라는 법적 의무사항을 준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녹색연합도 지난달 말 성명에서 "환경영향평가협의와 산지전용허가협의 조건은 '경기 후 전면복원'이었다"며 "강원도는 사회적 논란을 중단하고 국민과의 합의 사항을 이행하라"고 요구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12/11/PYH2018121105190006200_P2.jpg)
강원도와 정선군이 전면복원에 반대하는 명분은 올림픽 유산 존치와 지역 경제 활성화다.
수천억을 들여 건설한 올림픽 유산을 다시 수천억 원을 들여 복구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강원도는 지난 10월 도청 기자 간담회에서 "곤돌라를 존치해 학생, 환경단체 등 가족 참여형 생태복원·생태교육장 시설로 활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최승준 정선군수는 13일 "가리왕산은 국유림이지만, 수백 년을 함께 한 정선군민도 정서적 소유권이 있다"며 "곤돌라와 관리도로를 올림픽 유산으로 존치해 관광 자원화하겠다는 요구는 절대 무리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가 환경 논리로 정선군민의 염원을 묵살한다면 힘없는 지역 주민은 몸으로 저항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by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