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87만명·민주노총 71만명…대기업 편중 여전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 문재인 정부 첫해인 지난해 국내 노동조합 소속 노동자가 12만1천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으로 국내 노조 조합원은 208만8천명으로, 전년보다 12만1천명(6.2%) 증가했다.
노조 가입이 금지된 5급 이상 공무원 등을 제외한 '조직 대상 노동자'는 1천956만5천명으로, 전년보다 39만3천명(2.0%) 늘었다.
조직 대상 노동자 가운데 노조 조합원 비율인 노조 조직률은 10.7%로, 전년보다 0.4%포인트 높아졌다.
노조 조직률은 '노동자 대투쟁' 직후인 1989년 19.8%로 정점을 찍고 하락세를 보여 2010년에는 9.8%까지 떨어졌다.
작년말 기준 노조조직률은 2008년(10.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상급단체별로 보면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조합원이 87만2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조합원(71만1천명)이 뒤를 이었다. 양대 노총 조합원은 전체의 75.8%를 차지했다.
2016년 말과 비교하면 한국노총 조합원은 3만명(3.6%) 증가했고 민주노총 조합원은 6만2천명(9.6%) 늘어 민주노총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양대 노총이 올해 들어 경쟁적으로 조직을 확대한 점 등을 고려하면 현재 규모는 이보다 상당히 클 수 있다. 민주노총의 경우 조합원이 80만명을 훌쩍 넘은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노조 조직률이 여전히 10%대에 머무르고 있다는 것은 노조 조직이 그만큼 어려운 현실을 반영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정부는 노조 가입·활동의 자유를 대폭 확대하는 내용의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을 위한 노동관계법 개정을 추진 중이다.
노조 조직이 대기업에 편중된 점도 문제다. 300인 이상 사업장의 노조 조직률은 57.3%에 달했으나 100∼299인 사업장은 14.9%로 뚝 떨어졌고 30∼99인 사업장은 3.5%에 불과했다. 중·소규모 사업장 노동자는 아직도 대부분 노조의 보호를 받지 못한다는 얘기다.
한편, 작년 말 기준으로 부문별 노조 조직률은 공무원이 68.5%로 가장 높았고 교원은 1.5%에 그쳤다. 민간 부문은 9.5%였다.
공무원의 경우 노조 가입이 가능한 인원의 규모가 작아 노조 조직률이 높다는 게 노동부의 설명이다.
국내 전체 노조원 가운데 초기업 노조(산업·업종·지역별 노조) 소속은 118만2천명으로, 56.6%를 차지했다.
ljglor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