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후 30일이 '신용회복 골든타임'"…만기연장·이자감액
신복위 원금감면율 29%→45%로 확대, 상환기간 7년→5년 축소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 원금이 1천만원 이하인 '소액채무'에 대한 특별감면 프로그램이 상시화한다.
연체 전이거나 연체 발생 30일 이내인 '잠재적 연체자'도 만기를 늘려주고 이자를 감액한다.
금융위원회는 21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서민금융 지원체계 개편방안 20개 과제를 발표했다.
연체발생 전이나 연체발생 30일 안에 신속한 채무조정을 지원하는 '상시 채무조정 지원 제도'가 신용회복위원회의 새로운 개인워크아웃 제도로 마련된다.
기존에는 연체발생 90일이 지나 신용등급이 하락하고 연체자로 등록돼야 워크아웃이 가능하다. 30∼90일 사이에는 프리워크아웃 제도가 있다.
앞으로는 연체발생 30일 안에라도 실업·폐업·질병 등으로 돈을 갚지 못할 것으로 걱정되면 채권자 동의를 거쳐 채무를 조정할 수 있다.
현재 금융회사가 개별적으로 운영하는 '가계대출 119(연체 전 채무조정 제도)'를 일괄 조정으로 바꾸는 것이다.
연체가 곧 발생하거나 발생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을 신용회복의 '골든타임'으로 보고, 본격적인 연체로 이어지지 않도록 지원하는 게 이 제도의 취지다.
본격적인 채무조정이 아닌 만큼, 최장 1년 동안 상환을 유예하되 이자 감면은 제한적으로 적용할 방침이다.
일반 채무조정의 원금 감면폭도 확대된다. 현재 감면 대상이 아닌 '미상각 일반채권'도 일정 수준의 원금 감면을 허용하는 방법을 통해서다.
현재 30∼60%인 감면율 허용 범위를 20∼70%로 늘려 '더 갚을 수 있는 사람은 더 갚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덜 갚는' 구조로 개편한다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이를 통해 평균 원금 감면율(29%)을 2022년까지 45%로 높이고, 상환기간도 6.7년에서 4.9년으로 줄일 방침이다.
금융위는 금융회사들이 미상각 채권의 원금을 감면할 수 있도록 필요한 경우 감면액의 손비가 인정되게끔 법인세 법령 개정을 검토하기로 했다.
법원의 개인회생·파산, 신복위의 개인워크아웃 등은 채무 금액이 일정규모 이상이거나 상환능력이 일정수준 이상이어야 이용할 수 있다.
금융위는 이에 따른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1천만원 이하 소액채무에 대해서도 '특별감면 프로그램'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는 2017년부터 한시적으로 추진 중인 장기·소액연체자 지원책, 즉 1천만원 이하 10년 이상 연체자에 대한 지원을 상시화하는 것이다.
소득 수준이 낮아 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1천만원 이하 소액채무에 대해 3년 동안 소득 범위에서 성실하게 갚으면 남은 채무는 면제해주는 제도다.
금융위는 청년들이 취업할 때 채무조정 이력이 남용돼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고용노동부 등과 협의할 계획이다.
또 주택담보대출 채무를 조정할 경우 채권자(금융회사)의 자산건전성 분류 기준을 완화한다. 채무조정에 대한 채권자 동의율을 높이기 위해서다.
금융위는 법원 개인회생을 이용 중인 경우 담보채권 채무조정도 함께 받을 수 있도록 신복위와 법원이 연계하는 방안을 법원과 협의 중이다.
이 같은 채무조정 제도들은 '빌린 돈은 반드시 갚아야 한다'는 상식을 훼손한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이날 '서민금융지원체계 개편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채무에 대한 지나친 자기책임감이 재기 가능성을 떨어트린다"고 반박했다.
최 위원장은 "지나친 자기책임감은 추가대출을 일으키거나 채무조정 제도 이용을 지연시킨다"며 "채무자 친화적으로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통합·종합·상담지원센터 등으로 나뉜 서민금융 지원채널을 통합지원센터 중심으로 개편한다.
상담지원센터는 인력 파견을 점차 줄이고, 종합지원센터는 철수한다. 대신 통합지원센터를 45개에서 50개로 늘리고 인력을 확대한다.
'4대 서민금융 상품' 중 미소금융은 내년 중 실태조사를 벌여 운영방식 등을 재설계한다. 전통시장 상인회 대출 등은 연체율이 33.4%에 이를 정도로 관리가 미흡하다.
zhe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