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영산강 보 처리 방안은 연기…내년 7월께 확정 예정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7/04/PYH201807041073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기자 = 4대강 보 평가 체계가 확정됐다. 금강, 영산강 보 처리 방안은 해를 넘긴 뒤 마련될 전망이다.
환경부는 21일 서울역 인근에서 열린 제1차 4대강 조사·평가 기획위원회 회의에서 4대강 평가 지표와 보 처리 방안 결정 방식을 확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정부위원 7명, 민간위원 8명으로 구성된 기획위원회는 4대강 16개 보(한강 3개·낙동강 8개·금강 3개·영산강 2개)에 적용할 평가 군을 수질·생태, 물 활용, 경제·사회 등 3개로 결정했다.
평가 군별 지표는 수질·생태 10개, 물 활용 5개, 경제·사회 2개 등 총 17개로 세분화했다.
기획위원회는 평가 지표의 주요 내용과 보의 활용 방안, 관리·해체 비용 등을 반영한 비용편익 분석을 중심으로 보 해체 여부를 우선 평가하되 수질·생태, 물 활용 모니터링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기로 했다.
이번에 확정한 공통 평가 체계를 바탕으로 수계·보별 특수성을 반영해 각 보에 대한 평가가 이뤄질 예정이다.
기획위원회가 마련하는 금강, 영산강 5개 보 처리 방안 발표는 당초 연내에서 내년 2월로 미뤄졌다.
홍정기 4대강 조사·평가단장은 "처리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수준까지 논의가 진행되지 않았다"며 "서두르다가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전문가들과 함께 차분하게 더 대화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금강, 영산강 보별 처리 방안이 내년 7월께 국가 물관리위원회에서 확정된다는 점은 변함이 없다.
한강, 낙동강 11개 보의 처리 방안을 마련, 확정하는 데는 당초 예상대로 시간이 더 걸릴 예정이다.
홍 단장은 "가장 중요한 것은 보의 안전성"이라며 "금강, 영산강은 수중 촬영 등을 통해 현장 조사를 끝냈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A, B, C, D 등급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다양한 요소와 수계별 특성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평가 체계가 마련됐다"며 "이를 토대로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4대강 16개 보의 처리 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는 4대강 사업으로 16개의 보를 건설했다.
보 건설 이후 녹조 현상이 나타나는 등 환경 오염이 심각해졌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문재인 정부는 4대강의 자연성을 되살리기 위한 보 처리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2/23/AKR20181223001800004_01_i.jpg)
ksw08@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