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독일 수입차 BMW 화재 원인을 조사해온 민관합동조사단이 24일 최종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단은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냉각기 균열로 흘러나온 냉각수가 엔진오일과 섞여 흡기 다기관에 엉겨 붙어 있다가 500℃ 이상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면서 불씨를 만들어 화재로 이어졌다고 결론 내렸다. 여기까지는 BMW가 이미 발표한 화재 원인과 다르지 않다. 하지만 조사단이 실제 차량시험에서 EGR 냉각기 안의 냉각수가 끓는 현상을 처음 확인했다고 밝혔다. 애초에 고온의 배기가스를 감당하기 어려운 부품을 장착하고는 우리 배출가스 규제에 맞추려고 적정 용량을 넘는 배기가스를 처리하다 보니 냉각수가 끓어 화재의 원인이 됐다는 의미다. 차량 화재 근본 원인의 하나로 지목된 냉각기 균열이 결국 EGR 설계결함에서 왔을 가능성을 제기한 것이다.
BMW가 엔진결함 사실을 미리 알고도 은폐·축소에 급급하다가 늑장 리콜을 했다는 판단도 나왔다. 차량 손상은 물론 탑승자 생명까지도 앗아갈 수 있는 심각한 안전사고인데도 글로벌 메이커로서의 이미지 손상과 판매 감소라는 당장 눈앞의 피해가 두려워 고객들의 재산과 생명을 소홀히 여겼다는 점에서 황당하기만 하다. 조사단에 따르면 2015년 10월 독일 본사에 EGR 냉각기 균열 해결을 위한 태스크포스(TF)가 구성됐고, 2016년 11월에는 흡기다기관 클레임 TF가 만들어졌다. 이미 화재 원인과 EGR의 상관관계를 알고 설계변경에 들어간 것이다. BMW가 당초 올해 7월에야 화재 원인을 인지했다고 발표한 것과는 다르다. 이렇게 숨기려다 보니 늑장 리콜로 이어질 수밖에 없었고 고객들의 피해는 더 커졌다. 7월에 10만6천여대에 대해 첫 리콜을 하면서도 EGR을 사용하는 일부 차종은 대상에서 뺐다가 9월에 6만5천여대를 추가 리콜했다.
국토교통부가 늑장 리콜과 관련 112억7천여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한 것은 당연하지만 솜방망이 처벌이라는 지적을 피할 수 없을 것 같다. 개정된 자동차관리법에 신설된 규정에 따라 과징금이 전체 리콜 대상 차량이 아닌 2016년 6월 30일 이후 출시된 2만2천600여대 매출액의 1%를 기준으로 매겨져서다. 현재 국회에 제출된 법안대로 매출액의 3% 기준으로 기간 범위 없이 매긴다면 과징금이 2천600억원에 달한다고 한다. 국토부는 최종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BMW를 형사고발하고 추가 리콜에 나서기로 했다. 화재 원인이 추가로 밝혀진 만큼 리콜 수리를 받은 차량을 다시 리콜하는 것은 물론 추가로 리콜해야 할 차량이 없는지도 살펴야 한다.
BMW는 조사결과가 나오자 고객들에게 사과하면서도 "EGR 냉각기 누수가 화재의 핵심 원인이라는 점을 재확인했다"며 기존 입장을 지켰다. 차량 화재는 하드웨어 문제로 EGR 냉각기 교체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민관조사단이 오랜 조사 끝에 판단을 내린 만큼 조사단이 제기한 EGR 설계결함 가능성에 대해 납득할만한 소명을 하고 검찰 수사에도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한다. 이는 고객에 대한 최소한의 배려다. 국회는 국민 안전을 위해서라도 계류된 리콜 개선 법령을 논의해 신속히 처리해야 한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