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대화 교착 속 '文의 중재' 필요성 커져…전략적 소통 가능성
'친서 답장' 특사단 방북 등 2차 북미담판 여건 조성에 나설 수도
(서울=연합뉴스) 박경준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일 신년사에서 2차 북미 정상회담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힘에 따라 '중재자' 문재인 대통령의 '등판' 필요성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올해 초로 예상되는 김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담판을 실질적인 비핵화 진전의 장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문 대통령의 견인차 역할이 필요하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김 위원장은 신년사에서 "앞으로도 언제든 미국 대통령과 마주 앉을 준비가 돼 있고 국제사회가 환영할 결과를 만드는 데 노력할 것"이라며 북미 대화의 끈을 놓지 않았다.
다만 김 위원장은 비핵화 진전을 위한 미국의 '상응 조치' 필요성을 동시에 거론했다.
김 위원장은 "우리의 주동적·선제적 노력에 미국이 신뢰성 있는 조치를 취하며 화답하면 두 나라 관계는 훌륭하고 빠른 속도로 전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아가 "미국이 세계 앞에서 한 약속을 지키지 않고 인민의 인내심을 오판하며 제재와 압박으로 나가면 우리로서도 국가의 이익을 수호하고 조선반도의 평화를 이룩하기 위한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게 될 수도 있다"고 했다.
이는 북한의 추가적 비핵화 조치를 촉구하는 미국과 상응 조치를 요구하는 북한의 견해차로 북미 간 비핵화 대화가 교착 상태에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북미 간 비핵화 대화의 실마리를 찾는 데 문 대통령이 역할을 할 것이라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미국으로부터는 일정한 '상응 조치'를 끌어내고, 북한으로부터는 '진정한 비핵화 담보 방안'을 유도하는 등 북미 양측의 접점을 찾기 위해 문 대통령이 전략적 소통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당장 문 대통령은 새해에도 트럼프 대통령과 비핵화 해법에 머리를 맞댈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문 대통령이 '상응 조치'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는 노력이 이어질 수도 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북한이 영변 핵시설 폐기 카드를 꺼낸 상황에서 미국의 답변을 빨리 끌어내는 게 중요해 보인다"며 "그 답이 없다면 답보 상태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연초 이른 시점에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김 위원장이 북한 최고지도자로는 처음으로 한국을 찾아 비핵화 의지를 재천명하고, 남북 정상이 또다시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누는 것 자체가 비핵화 대화를 이어가는 긍정적 신호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의 불씨를 지피는 동시에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에 필요한 여건 조성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김 위원장의 답방에 앞서 지난달 30일 김 위원장이 보내온 친서에 대한 답장과 함께 대북 특사단을 보내는 방안도 조심스레 거론된다.
활발한 남북대화가 북미대화의 끈으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실제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작년 3월 5일 문 대통령의 친서를 들고 방북해 김 위원장을 만난 지 나흘 뒤 미국행 비행기에 올라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방북 결과를 공유한 바 있다.
정 실장은 당시 '트럼프 대통령과 얘기를 나누면 큰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는 김 위원장의 비핵화 메시지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했고, 이는 4·27 남북정상회담과 6·12 북미 정상회담으로 이어지는 기폭제 역할을 했다.
kj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