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준 전주대 경영학과 교수 등 공동 연구보고서 발표
(전주=연합뉴스) 홍인철 기자 = 금융중심지인 서울·부산에 이어 전북이 제3의 금융 도시로 탄생할 수 있을지가 관심을 끈다.
문재인 정부가 지난해 7월 발표한 '국정 운영 5개년 계획'에서 전북혁신도시를 서울·부산과 함께 제3의 금융 도시로 육성하겠다고 밝혔고, 전북도 역시 금융 도시 조성을 위해 157억원을 들여 혁신도시에 3만여㎡의 용지를 매입한 데 이어 전북 금융센터 설립 타당성 조사 용역을 발주하는 등 속도를 내고 있으나 일각의 의구심은 여전하다.
서울·부산도 홍콩이나 상하이, 도쿄 등 아시아 주요 도시보다 금융 경쟁력이 밀리는 상황에서 국내에 추가 금융중심지를 지정하면 경쟁력은 더 떨어질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한국은행 전북본부 강영대 기획조사팀 과장과 정희준 전주대 경영학과 교수가 3일 '전북경제의 새로운 패러다임 창출을 위한 금융산업의 역할'이란 주제의 공동 연구보고서를 냈다.
이 보고서는 500조원에 이르는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을 지렛대 삼아 전북경제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면서, 우선 전북이 금융중심지 지정을 받으려면 지역의 목표를 국가의 목표와 합치시켜 지속적인 정책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보고서는 그러면서 전북이 금융중심지로서 결코 규모가 작지 않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500대 자산운용사의 소재지 분석결과 자산운용업이 발달한 국가일수록 본사가 소규모 도시를 포함한 여러 도시에 산재하고 있다는 설명도 곁들였다.
전북과 전주를 마치 사람과 정보가 모일 수 없는 곳으로 취급하며 기금운용본부를 흔들며 수도권 재이전을 언급하는 일부 정치권과 언론의 지적을 반박한 셈이다.
보고서는 자산운용업이 그 특성상 연구·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보다 중요하며 외부와 빈번한 접촉의 필요성이 낮아 반드시 대도시에 있을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는 "캘리포니아 공무원 연기금이 있는 새크라멘토(36만명)와 스웨덴의 국가연금 펀드가 있는 예테보리(50만명) 모두 전주(65만명)보다 인구가 적지만 투자에 전혀 문제가 없는 금융 도시"라며 도시의 규모와 자산운용은 별개라고 강변하는 전북도의 논리와 맥을 같이한다.
보고서는 그러면서도 (제3 금융중심지로서) 전북만의 특성(관광산업 등)을 강화한 차별화 전략과 기존의 서울·부산 금융중심지와 경합하지 않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추구해야 시너지를 얻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제3 금융중심지를 위한 전북 금융산업 육성책으로 금융투자 관련 기관들을 지역에 유치 또는 신설하고 이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관이 집적하면 국민연금과 비슷한 자산운용 업무를 하는 각종 연기금 및 민간 기관투자자의 투자 활동이 역내에서 이뤄져 독자적인 자산운용 특화 금융생태계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중심지 운영을 위한 기본 토양인 전북금융타운조성,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대학원 설립, 전북 주력산업과 연관된 중소형 기금 유치 등 선결 과제도 빼놓지 않았다.
보고서에서 이들은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이전으로 전북이 소규모 간접금융을 뛰어넘어 자산운용 관련 금융산업 생태계를 조성,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을 창출 할 수 있는 기회가 왔다"고 말했다.
icho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