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사업자에 운영 판단 일임하기로
"100억 들여 임대업자에 땅 사준 꼴" 비난 여론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1/04/AKR20190104102100054_01_i.jpg)
(무안=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 전남도가 100억원을 들여 서울에 마련한 전남 친환경농수축산물 유통센터가 매출 부진을 이기지 못하고 결국 문을 닫을 것으로 보인다.
애초 사업 취지를 살리지 못한 채 '애물단지' 취급을 받았던 지하 3층 지상 5층 건물은 당분간 임대용으로만 이용될 처지에 놓였다.
전남도는 서울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전남 친환경농수축산물유통센터(유통센터) 운영방식을 변경하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심각한 매출 부진을 겪고 있는 유통센터 운영에 대한 자율권을 현 건물 사업권자에게 넘겨 운영방식을 개선한다는 구상이다.
2012년에 서울에서 문을 연 유통센터는 전남도가 부지 매입비 103억원을 투자하고, 민간업자가 건축비 114억원을 들여 세웠다.
민간업자는 건물을 지어 전남도에 기부채납하고 운영권만 오는 2030년까지 18년간 갖도록 했다.
하지만 전남 친환경농수축산물유통센터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지하 3층 지상 5층 건물 내 대부분을 그동안 사무실·식당·병원·커피숍·마트 등의 임대 매장이 차지했다.
건물 연면적 1만2천627㎡ 중 1층의 400㎡만 전남산 친환경농수축산물 판매장으로 이용됐다.
이마저도 매출 부진을 타개하지 못하면서 존폐 위기에 몰렸다.
실제로 유통센터 매출액은 2012년 4억2천만원에서 2012년 1천500만원, 2014년 1천900만원, 2015년 1억6천만원, 2016년 8천700만원 2017년 1천400만원으로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전남도는 이에 따라 전문가 간담회, 사업자 면담, 도의회 농수산위원회 보고 등을 거쳐 유통센터 운영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다.
친환경 농수축산물 판매만으로는 유통센터와 건물 상권을 활성화하지 못할 것으로 보고 건물 1층 유통센터 운영 여부를 민간업자의 자율적인 판단에 맡기기로 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현재는 유통센터 유지 자체가 무의미한 상황"이라며 "먼저 주변 상권을 키운 뒤 농수산물 유통기능을 다시 반영하는 것을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유통센터 건물 주변 재건축 사업 등이 완료되는 2023년 운영방안을 재검토할 계획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1/04/AKR20190104102100054_02_i.jpg)
전남도의 이 같은 유통센터 운영 활성화 방안은 사실상 유통센터 운영 포기로 받아들여 지고 있다,
건물 운영권을 지닌 민간업자에게 유통센터 운영 여부를 맡긴 것은 유통센터 존폐에 대한 판단을 맡긴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유통센터 운영 자율권을 민간 사업자에게 넘길 경우 사실상 유통센터 폐업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전남도도 상권 활성화를 위해서는 그럴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결국 전남산 친환경농수축산물 유통망 확보라는 취지를 앞세워 100억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했지만 6년 만에 이를 포기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남도가 건물 임대업자를 위해 100억원을 들여 땅을 사준 꼴 밖에 안된다는 비난도 사고 있다.
전남도의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진권(고흥2) 의원은 "공공 성격의 사업에 과도한 민간투자 유입은 사업 내용이 좋지 않을 경우 결국 지자체 부담이 되고 만다"며 "좀 더 면밀한 사업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bett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