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 경찰 보안 전문가 수백명 증원·사이버 공격 조기경보 체제 구축 계획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1/10/AKR20190110050100009_01_i.jpg)
(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기자 = 최근 앙겔라 메르켈 총리를 비롯한 주요 정치인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으로 홍역을 치른 독일이 5월 유럽의회 선거를 앞두고 사이버 보안 강화에 나섰다고 로이터 통신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독일 내무부는 전날 사이버 보안 강화를 위해 연방 경찰과 연방정보기술안전국(BSI)의 보안 전문가 수백명을 증원하고 사이버 공격에 대한 조기 경보 체제를 구축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아울러 호르스트 제호퍼 내무 장관은 "상반기 중 산업 및 개인정보 보안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현행법을 개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독일 정부의 사이버 보안 강화 움직임은 최근 독일을 발칵 뒤집어놓은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건에서 비롯됐다.
헤센 주(州)에서 부모와 함께 사는 20세 용의자는 정치권에 불만을 품고 전·현직 정치인 994명의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 온라인 메시지 등 개인정보를 빼돌려 일부를 소셜미디어에 공개했다.
용의자가 공개한 개인정보에는 메르켈 총리의 이메일 주소와 팩스 번호를 비롯해 로버트 하벡 녹색당 대표의 사적인 페이스북 메시지 등이 포함돼 독일 정가를 발칵 뒤집어놨다.
로이터는 유럽의회 선거를 앞둔 독일 정부가 우익세력이나 외부 세력이 광범위한 사이버 공격을 통해 선거 조작을 시도할지 모른다는 우려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1/10/AKR20190110050100009_02_i.jpg)
연방범죄수사청(BAK)의 수장인 홀거 뮌히 국장은 스무살의 용의자가 부모 집 침실에서 보안 네트워크를 뚫을 수 있었다면 다른 사람 역시 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전문 해커들은 더 많은 방법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사건의 용의자는 2017년에도 개인정보 유출을 시도한 바 있으며, BSI는 지난해 12월 해당 사건을 파악하고도 이달 4일에야 BKA에 전달한 것으로 드러나 비난을 받았다.
당국이 왜 용의자를 감시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이 쏟아지자 뮌히 국장은 "이 사건은 강도처럼 흔한 범죄"라며 "모든 사람을 감시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용의자의 나이가 어린 경우라면 더욱 그렇다"고 답했다.
독일은 최근 몇 년간 크고 작은 해킹 공격에 시달리고 있다. 2015년 'APT28'이라는 러시아 해킹조직은 독일 하원의 네트워크에 침입해 이메일 주소 등이 포함된 10GB(기가바이트) 이상의 데이터를 탈취했다.
지난해에는 독일 외교부가 해킹 공격을 받았지만, 자세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kind3@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